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기애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자기애의 특성에 따라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 나누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만 19세∼ 29세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성인들 406명을 대상으로 외현적 자기애 척도, 내현적 자기애 척도, 관계중독 척도, 비합리적 신념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9.0와 Process Macro Model 6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현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순차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순차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자면 자기애는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해 유의미한 순차매개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상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의 부상 인지와 재활신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ort injury cognitive reaction and rehabilitation belief of athletes with injury experience 오성민, 최다희 p. 1-14

성인초기 남성의 회피애착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 = Avoidant attachment and problem gambling among early adult male :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via alexithymia and self-soothing ability : 감정표현불능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김문형, 이문희 p. 15-35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arcissism on relationship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 and self-conceptual clarity : 비합리적 신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박주희, 홍지영 p. 37-54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대인관계스트레스 및 대인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human-animal interaction, empathic ability, self-comfort ability, interpersonal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mpanion animal caregivers 김명희, 천성문 p. 55-76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interpersonal problems : the mediating effect of malicious envy and anger rumination : 악의적 선망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김찬미, 이상일, 임종민, 장문선 p. 77-92

비자발적 실직을 경험한 청년들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self and lif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unemploy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and embitterment : 희망과 울분의 매개효과 김민선, 고주현, 이소연, 송윤조 p. 93-114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고명주, 최보영 p. 115-131

한국판 양가적 연령주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ing and validating a Korean version of the Ambivalent Ageism Scale 박현, 김유리, 나은혜, 윤은지, 장민준, 김은하 p. 13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