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아버지 양육행동, 유아 또래 놀이상호작용과 아동기 학업 수행능력 간의 종단적 관계를 다변량 잠재성장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의 데이터 중 만 4세부터 만 9세까지의 자료인 5차년도∼10차년도 종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기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 초기값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학업 수행능력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인 간 직접효과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행동 초기값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학업 수행능력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인 간 직접효과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father-rearing behavior, early childhood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analysis. To this end, it was analyz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5th to 10th years, which are data from the 4th to 9th years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 (PSK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influence of the initial value of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of early childhood fathers o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initial value of play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s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When looking at the rate of change,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bu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rect effect between variables. Second, in the influence of the initial value of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of early childhood o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initial value of play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s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When looking at the rate of change,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rect effect between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