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한 '불통령', 국민에 대파(大破)당하다 : 역대급 여소야대 부른 결정적 장면
|
유길용
|
p. 22-27
|
|
|
|
"尹 불통과 민심 외면으로 패배… 제갈공명이 비대위원장 해도 어려웠을 것" : 범야권 압승으로 끝난 4·10총선
|
배종찬
|
p. 28-33
|
|
|
|
"尹 정부 조기 레임덕 확실… 탄핵은 여야 모두에게 패착" : 총선 이후 5大 정국 현안, 전문가 16人에게 물었다
|
[글]: 안덕관, 김태욱 ; 녹취 정리: 김도원
|
p. 34-41
|
|
|
|
"대법원, 조국 대표 수감하면 국민에게 정치적 박해로 비칠 것" : 문재인-윤석열 대통령 지지한 신평 변호사가 본 '4·10총선 이후' [인터뷰]
|
[인터뷰이]: 신평 ; 글: 박성현 ; 사진: 김상선
|
p. 42-47
|
|
|
|
"국민의 명령은 협치(協治), 尹이 먼저 변하고, 李도 미래지향적으로" : 강원택 서울대 교수가 바라본 4·10총선 함의와 정국 전망 [인터뷰]
|
[인터뷰이]: 강원택 ; 글: 김영준 ; 사진: 김상선 ; 녹취 정리: 김도원
|
p. 48-52
|
|
|
|
'청와대 스쿨'과 '지민비조', 조국 개인기 : 조국혁신당을 원내 3당으로 만든 3가지 장면
|
김태욱
|
p. 54-58
|
|
|
|
"국민 뜻 받드는 일이라면, 어떤 소임도 마다치 않을 것" :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도전하는, 조정식 민주당 사무총장 [인터뷰]
|
[인터뷰이]: 조정식 ; 글: 최현목 ; 사진: 최영재
|
p. 60-63
|
|
|
|
"민심은 정권 부도처리… 윤 대통령 탈당하고 거국내각 구성해야" : 최고령·최고 득표율 박지원 당선인
|
유길용
|
p. 64-65
|
|
|
|
"의사 증원은 백년지대계… 尹정부, 아마추어적 탁상행정" : 돌아온 '총선 승리' 아이콘 전현희 [인터뷰]
|
전현희 [인터뷰이] ; 최은석 [취재]
|
p. 66-67
|
|
|
|
"뼈를 깎는 성찰 속 민심과 더 가까워지겠다" : 부활한 나경원, 국민의힘 구원투수 되나
|
최은석
|
p. 68-70
|
|
|
|
"공영방송, 국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 김장겸 국민의미래 당선인 [인터뷰]
|
[인터뷰이]: 김장겸 ; 글: 김태욱 ; 사진: 최영재
|
p. 72-73
|
|
|
|
"尹 대통령이 잘하도록 '외부총질' 더 세게 하겠다" : 양당 구도 깨고 '기적의 승리' 거둔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인터뷰]
|
이준석 [인터뷰이] ; 김영준 [취재]
|
p. 74-75
|
|
|
|
무대는 끝났다, 빗나간 예측과 빚이 남았다 : 역대급 총선에 여론조사 전문가 희비
|
조득진
|
p. 76-79
|
|
|
|
대권가도(大權街道) 청신호! 남은 건 사법리스크뿐 : 총선 압승으로 날개 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
유길용
|
p. 80-85
|
|
|
|
국가 기관 중 신뢰도 꼴찌… 검찰보다 아래 : 데이터로 본 21대 국회 결산
|
최현목
|
p. 86-89
|
|
|
|
민생 해결 집중? 허니문 없는 극한 대립 올 수도 : 22대 국회는 다를까
|
최현목
|
p. 90-91
|
|
|
|
선거가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 키운다 : 22대 총선이 지역균형발전에 남긴 득실(得失)
|
박성현
|
p. 92-96
|
|
|
|
"고생한 어르신들 예우는 정부 책임… 월 40만원으로 인상 논의 중" : 기초연금 도입 10주년에 만난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 [인터뷰]
|
이기일 [인터뷰이] ; 박세나 [취재]
|
p. 98-102
|
|
|
|
"북·중·러, 11월 美 대선에서 트럼프 집권 기다린다"
|
이장훈
|
p. 104-109
|
|
|
|
"尹 정부, 韓·美·日 밀착 '반작용' 대처 못해 한·중, 한·러, 남북관계 최악 국면" : '외교부 최고 전략가' 위성락이 본 한반도 정국 [인터뷰]
|
[인터뷰이]: 위성락 ; 글: 김영준 ; 사진: 최기웅 ; 녹취 정리: 김도원
|
p. 110-114
|
|
|
|
정용진, 회장 오른 뒤 SNS 끊고 경영 전념 : 오너 일가부터 새 CEO까지… 주요 기업 수장들 각오 대단
|
최은석
|
p. 116-120
|
|
|
|
"이제 퇴직연금에도 AI 입힌다" : 미래에셋증권의 서비스 평가액 1조원 돌파 비결
|
김영준
|
p. 122-123
|
|
|
|
라면업계 최초 녹색인쇄 '플렉소' 도입… 육류소스에 '순환형 재활용 페트' 적용 : 친환경 패키지 등 선순환 가치 실현하는 오뚜기
|
최은석
|
p. 124-125
|
|
|
|
근검과 집념 일관한 경영인… 영면 하루 전까지 금호문화재단 출근 : 박인천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자
|
이한구
|
p. 126-132
|
|
|
|
"'숲의 동맥' 임도는 '산림 지킴이'입니다"
|
김영준
|
p. 134-137
|
|
|
|
기후위기, 도전을 넘어 변화로 "반드시 해낸다" : '기후도지사' 김동연, 'RE100' 비전에 진심을 더하다
|
유길용
|
p. 138-141
|
|
|
|
"바야흐로 우주 대항해시대… 우주항공청 반드시 성공시켜야" : 김민석 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 말하는 '7대 우주 강국' 도약의 길 [인터뷰]
|
[인터뷰이]: 김민석 ; 글: 최현목 ; 사진: 최영재
|
p. 144-148
|
|
|
|
"연간 30조원 가치 창출하는 마스터플랜 하루빨리 수립해야" : 우주항공산업 글로벌 경쟁력 높일 우주항공청 역할
|
안영수
|
p. 150-153
|
|
|
|
"해군력과 우주력은 불가분, 우주-해양기술 융합의 가교 돼야" : 우주항공청 개청, 해야 방산도 성장시키자
|
최성목
|
p. 154-159
|
|
|
|
세계가 주목하는 K방산 기술력의 결정체 'HR-셰르파' : 미래 무인체계 구축에 앞장서는 현대로템
|
최현목
|
p. 160-161
|
|
|
|
자체 기술로 위성·플랫폼 개발, 세계 무대로 뻗어간다 : 대한민국 '뉴스페이스 시대' 선도하는 (주)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
최은석
|
p. 162-163
|
|
|
|
AI 기술력, 영상 솔루션 양 날개로 비상하다 : K방산 소프트웨어 강소기업 한컴인스페이스
|
최현목
|
p. 164-165
|
|
|
|
"대학도 브랜드 시대, 상상력 없으면 탈락" : 지방 대학 웃기고 울리는 교육부 '글로컬대학30' 이모저모
|
최현목
|
p. 166-169
|
|
|
|
"주먹 써서 별 다는 시대 끝나… 전화 영업 잘하는 신입이 에이스" : 더욱 교묘해진 MZ조폭계 돈벌이
|
안덕관
|
p. 170-172
|
|
|
|
"모바일 앱 광고시장 지속 성장… 보상형 앱테크 개발해 시장 넓힐 것" : 애플리케이션 개발사 '트렌드픽커' 김중근 대표 [인터뷰]
|
[인터뷰이]: 김중근 ; 글: 안덕관 ; 사진: 최기웅
|
p. 174-177
|
|
|
|
"나이 젊다고 다 MZ? 획일화 불편해요" : MZ가 만난 MZ세대 속 이야기
|
김도원
|
p. 178-181
|
|
|
|
집대성한 주영하 교수와 하응백 대표 [인터뷰]">
"한입 가득 상추쌈밥, 조선 최고의 맛 아닌가?" : <한식문화사전> 집대성한 주영하 교수와 하응백 대표 [인터뷰]
|
[인터뷰이]: 주영하, 하응백 ; 글: 박정호 ; 사진: 박종근
|
p. 182-187
|
|
|
|
"구호는 나의 삶… 여행 전문가 한비야는 잊어라" : 구호(救護)활동 25년 차, '바람의 딸' 한비야 [인터뷰]
|
[인터뷰이]: 한비야 ; 글: 김태욱 ; 사진: 최영재
|
p. 188-191
|
|
|
|
"그림은 색(色)들이 펼치는 노래이자 미지로 향하는 통로" : '컬러 밴드' 추상화가 하태임 [인터뷰]
|
[인터뷰이]: 하태임 ; 글·사진: 조정화
|
p. 192-196
|
|
|
|
광주 선동열·부산 최동원·대구 이만수가 '국민 스포츠' KBO리그 토대 쌓았다 : 지역주의는 프로야구의 존립 기반이다
|
류선규
|
p. 198-201
|
|
|
|
농사에 꼭 필요했던 소… 잔칫상에 늘 있던 소고기 : 조선시대에 소고기 요리가 발달했던 이유
|
이윤석
|
p. 212-216
|
|
|
|
신채호가 전한 을지문덕의 감춰진 진실 : 중국을 뒤흔든 을지문덕의 노래(下): 살수대첩의 재구성
|
권경률
|
p. 218-223
|
|
|
|
임금 마음 바로잡는 일이 나라 바로잡는 출발 : 선조의 심학(心學) '과외교사' 동강(東岡) 김우옹
|
송의호
|
p. 224-228
|
|
|
|
고려와 조선 때도 버킷리스트 1위 : 한반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 금강산
|
이훈범
|
p. 230-237
|
|
|
|
인류 문명사 초유의 발상, 시부야 화장실 투어 : 화장실조차도 관광 명소로 만드는 일본
|
유민호
|
p. 238-243
|
|
|
|
몽환적인 자연풍경… <반지의 제왕> 촬영지 : 태초의 자연을 품은 마오리족의 나라 뉴질랜드
|
고혜련
|
p. 244-249
|
|
|
|
와 명태의 남하(南下)">
"소빙기로 작물은 말라갔지만… 바다는 풍년이었다" : 영화 <자산어보>와 명태의 남하(南下)
|
유성운
|
p. 250-25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