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낫또(natto)는 일본의 전통 콩 발효식품으로 혈전용해, 면역증강, 항고혈압, 항비만, 항균, 항산화, 항당뇨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낫또용으로 이용되는 콩 품종의 성숙 종실에는 소화 불량, 알러지 유발 및 가공 적성을 저하시키는 P34, lectin,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7S α′subunit 및 lipoxygenase 단백질과 같은 항영양성분도 포함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성분에 대하여 penta null 유전자형(p34leticgy1lox1lox2lox3)을 가지면서 종자 크기가 중소립이고 노란색 종피와 제색이 노란 또는 옅은 갈색을 가진 낫또용 콩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64 및 22C1 모본과의 교배를 통하여 제색이 노란 및 옅은 갈색이면서 종자 크기가 소립인 81개의 F₂ 종자가 선발되었고 그 중에서, P34 단백질 함량이 매우 낮은 18개의 F₂ 종자가 선발되었다. 18개의 F₂ 종자로부터 초형, 성숙기, 종피색, 제색 및 백립중이 양호한 2개의 F₂ 개체(BL1 및 BL2)가 최종 선발되었다. BL1 선발 개체의 성숙기는 중간이었고 종피색은 노란색이며 제색은 연한갈색을 보였고 백립중은 12.4g으로 소립이었다. BL2 선발 개체는 성숙기가 조생이었고 종피색과 제색은 모두 노란색은 보였으며 백립중은 12.6g으로 소립이었다. 선발된 두 개체는 모두 대표적인 항영양성분인 P34, lectin, KTI, 7S α′subunit 및 lipoxygenase 단백질에 대하여 모두 열성인 penta null 유전자형(p34leticgy1lox1lox2lox3)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발 개체는 낫또용 콩 품종으로 육성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Development of a specific SNP marker to identify the medicinal plants P. grandiflorum Ju Hwan Kim, Yun Hee Kim p. 1-6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water lettuce (Pistia stratiotes L.) via direct organogenesis Chang Ho Kang, Jae Hyeok Lee, Yeong Min Lee, Chae Oh Lim p. 7-14

낫또용 Penta Null 유전자형을 가진 소립 노란콩 계통 육종 = Breeding of yellow soybean line with small seed size and penta null genotype for Natto 리사랏, 정권문, 정종일 p. 15-20

치유농업 5년간(2018년~2022년) 동향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기준 모색 = Searching for operation standards program through analysis trends in agro-healing for 5 years (2018~2022) 홍인경, 문지원, 이상미 p. 21-32

대학 캠퍼스 내 정원 인식에 대한 요인 구조화 및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relationship with structuring factors fo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use of university campus garden 김용현, 허무룡 p. 33-41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가축분 퇴비 사용량에 따른 노지 고추(Capsicum annuum L.)의 생육 및 수량 변화 =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by the application ratio of food waste compost with manure under upland 정영재, 이승하, 나홍식, 김성헌, 권순익, 심재홍 p. 43-51

UAV 영상 기반 벼 양분 결핍 조기 진단 기계학습 모델 구축 = Development of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early diagnosis of nutrient deficiency in rice based on UAV images 이지현, 상완규, 박혁진, 백재경, 이상훈, 정회정, 장성율 p. 53-64

Optimiz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the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of Lespedeza bicolor Turcz. Woo Seok Lim, Si Young Ha, Ji Young Jung, Hyeon Cheol Kim, Jae-Kyung Yang p. 65-80

경기도 양평군 땅밀림지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 creep in Yangpyeong-gun, Gyeonggi-do 박재현, 강한별, 탁경미 p. 81-89

서양측백의 탄소저장량 추정 상대생장식 =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carbon stocks of Thuja occidentalis L. 이지현, 백경원, 이정민, 김춘식 p. 91-99

New in vitro method complement low-value existing in vitro method in commercial dog diets in the Republic of Korea Kyeong Ho Jeon, Min Ho Song, Ji Hwan Lee, Se Yeon Chang, Dong Cheol Song, Jae Woo An, Se Hyun Park, Hyuck Kim, Jin Ho Cho p. 101-110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기법을 활용한 동물매개 치유농업 활성화 분석 = Analyzing animal-based healing agriculture revitalization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s 이신자, 김근현, 문여황, 이성실 p. 111-117

국내 양돈 상업품종의 유전체 및 혈통 기반 근교수준 비교 = Comparative evaluation of inbreeding parameters in Korean commercial pig breeds using genomic and pedigree information 박준, 이준호 p. 119-124

Development of WPI/inulin maillard conjugate based nanoemulsion delivery system to enhance the bioaccessibility of lycopene Se Hee Lee, Yeon Woo Kim, Won Jae Lee p. 125-135

새만금 간척농업용지 전작화 계획변경에 따른 오염부하량 영향분석 =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considering the land-use scenarios for reclaimed agricultural land in Saemangeum 황세운, 나채인, 김시호, 성충현, 오찬성 p. 137-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