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계획 과정에서 시민참여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시민의 요구를 정책에 반영하고 실행 과정에서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독일은 국가 예산으로 추진되는 도시개발이나 도시재생사업 등에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도가 매우 높은 나라이다. 도시계획 과정에서 시민참여는 독일 연방 차원의 건설 법전(BauGB)을 통해 제도화되어 있으며, 도시계획의 수립 및 집행 권한이 있는 지자체는 조례 제정과 비법정계획을 통해 이를 보장하고 있다. 즉, 도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초기 구상에서부터 구체적인 개발계획의 수립, 실행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시민참여를 통해 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시스템화되어 있다. 따라서 독일의 비법정계획 연구를 통하여 참여형 도시계획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도시계획적 시사점 및 국내 적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비법정계획 및 참여형 도시계획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한다. 제도 고찰을 통하여 독일 도시계획 제도의 체계와 특징 그리고 비법정계획에 관해 연구한다. 독일의 도시계획 과정에서 수립되는 계획간의 연관관계를 살펴본다. 참여형 도시계획 사례연구는 독일 베를린의 철도부지 도시개발 사례인‘어마네 미테(Urbane Mitte)’와 산업부지 도시개발 사례인‘지멘스 슈타트 2.0(Siemens Stadt 2.0)’를 대상으로 한다. 이와 함께 국내 대구 K-2 군공항 부지 개발을 위한‘K-2 스카이시티’도시개발 사례를 함께 분석하여 독일 비법정계획의 활용을 통한 계획수립의 특징, 특히 시민참여형 계획의 관점에서 국내외 도시계획의 차이점 분석한다. (결과) 참여형 도시계획과 관련한 독일의 도시개발 사례의 경우 비법정계획을 통해 사업의 전 과정에서 시민의 폭넓은 참여가 보장되는 제도적 장치가 존재함을 파악하였다. 또한 계획과정에서 단순히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 계획안 작성에 참여하거나, 공모전 심사에까지 참여하는 등 역할과 권한이 크다. 즉, 시민참여에 대한 공공 차원의 시스템적인 지원뿐 아니라 시민 스스로 지역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데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노력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내 사례의 경우 도시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개발사업임에도 시민참여는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며, 공공 주도의 하향식 계획수립 및 개발이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독일의 비법정계획은 도시의 미래상을 입체적・공간적으로 설계하고, 유연한 계획을 통해 다양하고 유연한 대안적 계획안을 작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투명한 절차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계획안을 만들어 나가고, 이는 사회구성원의 합의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된다. 국내 도시계획 과정에서 독일의 비법정계획과 같은 계획도구의 도입을 통해 참여형 도시계획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can reflect citizens' demands in policies through social consensus and minimize conflict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i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German Federal Construction Code (BauGB), and local governments with the authority to establish and execute urban planning ensure this through the enactment of ordinances and non-statutory plan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reating a city through wide-ranging citizen participation is systematized, from the initial idea of the city's development direc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pecific development plan. Therefore, through research on non-statutory planning in Germany, we ai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and derive urban planning implications and domestic application measures. (Metho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trends in prior research related to non-statutory planning and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are identified.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ns established during the urban planning process in Germany. The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case study covers ‘Urbane Mitte’, a case of urban development on a railway site in Berlin, Germany, and ‘Siemens Stadt 2.0’, a case of urban development on an industrial site. In addition, we analyze the urban development case of “K-2 Sky C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2 former site in Daegu, Korea.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through the use of German non-statutory planning, especially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urban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 participatory planning. (Results) In the case of German urban development related to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it was found that an institutional mechanism exists to guarantee broad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entire project process through non-statutory planning. In addition, their role and authority are significant, going beyond simply presenting opinions during the planning process and participating in the drafting of plans or even participating in the judging of contests.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as not only systematic support at the public level for citizen participation, but also citizens actively participating and making efforts to develop and develop their regions. In the domestic case, although it is still a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ity, citizen participation is very limited, and top-down planning and development is led by the public. (Conclusions) Germany's non-statutory planning is characterized by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design of the city's future and the creation of diverse and flexible alternative plans through flexible planning. In addition, in this process, various stakeholders jointly participate through transparent procedures to create a plan, which is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reach consensus among members of society. In the domestic urban planning process, there is a need to actively promote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lanning tools such as Germany's non-statutory plan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Research on child-friendly improvements to streets in the primary school surrounding area = 초등학교 주변지역 거리의 아동친화적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 선전시 하이징 2길을 중심으로 : take Shenzhen Haijing 2nd Road as an example Yang, Ziyue, Kim, Chulsoo p. 11-22

인구감소시대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생활권 연결’ 관점의 지역균형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nnecting living areas' to address the challenges posed by local extinction age of population decline 김동민, 전숙연, 정석 p. 23-34

NFT 플랫폼 유형에 따른 디지털 아트 마케팅 특성 연구 = Analysis study on digital art marketing characteristics by NFT platform type : focused on representative cases of domestic digital art : 국내 디지털 아트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김예진, 한정엽 p. 35-44

뇌파측정(EEG)을 통한 공간의 편안함을 느끼는 바닥면적과 천장높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loor area and ceiling height for giving spatial comfort using EEG 한혜경, 김주연, 김영진 p. 45-55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마을생태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llage ecosystem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김현수 p. 57-65

프랭크 게리 건축의 입체주의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cubist characteristics of Frank Gehry architecture 박성용 p. 67-80

무형문화재 전시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The analysis of exhibition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하연주, 최익서 p. 81-94

택티컬 어바니즘 활용을 통한 가로공간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et spa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tactical urbanism : focused on the project of Vitamin Park in Soje-Dong : 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소영, 백한열 p. 95-10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강변 도시공원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urban park along the Han river using text mining : focusing on Seoul Forest Park, Seonyudo Park, and Yeouido Park : 서울숲공원, 선유도공원, 여의도공원을 중심으로 사광균 p. 111-123

박물관 디지털 전시공간에서 현장감과 인지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realism and cognitive experience in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 장선혁, 이정교 p. 125-138

서울시 고층 주상복합건축물의 저층부 공공성 제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ing publicity of the lower part of high-rise mixed-use building in Seoul 이한솔, 조경수 p. 139-153

모듈러 디자인을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based on modular design 대우항, 조택연 p. 155-166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ffordance design elements of spatial brand identity : focusing on the Korean cosmetics store space : 한국 화장품 매장 공간을 중심으로 한야람, 한석원 p. 167-177

생태복원을 위한 브라운필드 재생 디자인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ownfield's regeneration design for ecological restoration 마등비, 이정교 p. 179-193

지속가능성 개념의 근린공원 스마트보안등 디자인 방향성 제안 = A proposal of design direction for smart security lights in neighborhood parks with a sustainability concept : in terms of using wast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활용의 측면에서 이도훈, 김병수 p. 195-208

원시인류 발달기 아동 활동과 현대 놀이 공간 특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primitive developing childre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play space 양명월, 조택연 p. 209-222

비법정계획을 활용한 참여형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using non-statutory planning 백한열, 김홍배 p. 223-234

사옥 저층부의 스페이스 브랜딩 사례 연구 = Space branding case study on lower floors of head office 선현정, 김용성, 이남규 p. 235-246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lti-community spatial media 이보아, 이현성, 김주연 p. 247-256

GIS를 활용한 15분 도시 종합 접근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prehensive accessibility analysis of 15-minute city using GIS : focusing on the mixed-use industrial small neighborhood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부산광역시 근린 혼재 산업형 소생활권을 중심으로 황효민, 하슬지, 오광석 p. 257-270

발병 상태의 조형성 분석 및 적용 연구 =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lasticity in disease outbreaks : focusing on the exhibition our lives beyond epidemics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국립민속박물관 ‘역병, 일상’ 전시를 중심으로 강진영, 조택연 p. 271-281

역사계 참사 전시의 서사구조 분석 및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isaster exhibition : centered on Seymour Chatman's theory of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구조 분석론을 중심으로 번소계, 맹지윤, 최익서 p. 283-294

생성적 사유 관점의 현대 추모 공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morial space in ‘denevir’ thought perspectives 김재원, 윤성호 p. 295-308

장 프루베 프리팹 주택에서 유연성을 위한 건축 시스템 연구 = A study on architectural systems for flexibility in Jean Prouvé's prefab houses 신은기 p. 309-320

박물관 전시공간에서 AR기술이 관람자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visitor intention to adopt AR technology in museum exhibits 장선혁, 이정교 p. 321-332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에서 몰입경험의 영향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flow experience in offline brand space : focusing on the grounded theory process : 근거이론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조계해, 이정교 p. 333-346

공간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발상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reating cre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creative development in space design education : focusing on the use of midjourney based on depaysement : 전위법을 기반으로 한 미드저니 활용을 중심으로 박혜지, 조택연 p. 347-358

인공지능(ChatGPT & 생성형 이미지) 서비스 기반의 PTSD 치유 공간디자인 연구 = Artificial intelligence (ChatGPT & generative image) service-based PTSD healing space design study 장한, 이정교 p. 359-372

생태도시 개념이 적용된 중동 그린시티의 도시특성 연구 = Study of urban characteristics of green cities in the Middle East with the eco-city concept 정지호, 윤재은 p. 373-387

동양 전통 정원 ‘의경’의 표현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method of oriental traditional garden 'artistic conception' : centered on the artistry of Bai Juyi's ‘artistic conception’ : 백거이의 ‘의경’의 예술성을 중심으로 고옥금, 최익서 p. 389-402

아동 친화적인 통학 보행환경을 위한 특성 요인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 연구 = A study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importance of characteristic factors for child-friendly walking environment to school 공미진 p. 403-412

워케이션 업무공간의 물리적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 in workation workplaces 정슬아 p. 413-422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ESG 디자인 전략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ESG design strategies considering sustainability 신윤선, 김성현 p. 423-432

유니버설디자인 안내시스템 적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guide system : focusing on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low vision people and the elderly : 저시력인, 고령자 등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안성준, 이규일 p. 433-444

펜션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 감성 표현에 관한 소비자 선호도 연구 = A study on consumer preference based on emotional expression in pension interior design elements : focused on pensions in the Dali region of Yunnan, China : 중국 윈난성 따리 지역 펜션을 중심으로 원원, 이수영 p. 445-459

유럽 비영리 조직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요소 평가 연구 = A study evaluating governance elements of public design projects in European nonprofit organizations 이은영, 김주연 p. 461-472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도로부문 지표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oad sector indicators in barrier free certification system 안성준, 이규일 p. 473-485

국내 박물관의 유니버설 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in Korean museums 최성미 p. 487-499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의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governance arrangements for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top five GPCI countries : GPCI 상위 5개국을 중심으로 이은영, 이현성, 김주연 p. 501-510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평가 기준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public space design through AHP analysis : focusing on the Chinese city fitness park : 중국 도심 피트니스 공원을 중심으로 손설도, 김경숙 p. 511-522

중국 어린이박물관 실내공간의 위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ierarchy analysis of the indoor space of Chinese Children's Museum 담복서, 이행우 p. 523-532

인공지능 생성 콘텐츠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process applying AI-generated content(AIGC) technology 성락천, 김소현 p. 533-543

유니버설디자인 메타버스체험 학습 효과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 A content analysis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of universal design metaverse experience 이연숙, 임진이, 최주영, 황유미 p. 545-556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본 시드니 공공도서관 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ydney Public Library based on sustainability 김희근 p. 557-566

현상학을 통한 생태학적 디자인 인식론의 특성 고찰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design epistemology through phenomenology : focusing on Husserl’s concept of ‘Lebenswelt’ : 후설의 생활세계 개념을 중심으로 이지원 p. 567-579

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d parents' satisfaction in kindergartens : focused on the case of private kindergarten in China : 중국 사립 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전가녕, 김경숙 p. 581-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