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여성 노인 건강 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가구 유형에 따라 건강정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시에는 질병관리청의 ‘한국 여성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 및 이슈 발굴 조사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여성 노인 3,000명(1인 가구 여성 노인 683명, 다인 가구 여성 노인 2,317명)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 여성 노인일수록 다인 가구 여성 노인에 비해 신체 건강 수준 및 사회적 관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인 가구 여성 노인의 건강정보 리터러시 수준이 1인 가구 여성 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여성 노인 모두의 사회적 관계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과정에서 건강정보 리터러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때 1인 가구 여성 노인은 가족과의 관계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건강정보 리터러시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인 가구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가족과의 관계와 친구와의 관계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정보 리터러시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성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인의 사회경제수준, 만성질병 개수,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iADL and depression among older people :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 잠재성장모형 분석 남순현 p. 1-17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driving evaluation of older drivers = 고령운전자의 운전평가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Yunjeong Eom, Minye Jung, Junghun AJ Kim p. 19-31
중⋅고령 만성질환자의 우울궤적 유형과 예측요인 = Predictors of variation in the depression trajectories of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during the transition into chronic patients : a growth mixture modeling :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이은지, 조규영 p. 33-51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 Latent classes of end-of-life preparation and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among older adults : comparison by age group : 연령 집단별 비교 최봄이, 박하영 p. 53-66
한국 저교육 노인에게 적용 가능한 개념화 능력 평가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 Preliminary validation of literacy-free conceptualization test using Korean proverb : 속담 검사 예비타당화 연구 이한경, 최진영 p. 67-89
중고령 남성 은퇴자의 은퇴만족도 변화궤적 유형과 영향 요인 = Patterns of retirement satisfaction trajectory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middle-aged and older male retirees 송시영 p. 91-106

여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 건강정보 리터러시 및 신체 건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ocial relationships, health literacy and physical health among older women in South Korea : a comparison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le-person households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이유미, 최윤희, 최귀선 p. 107-128

자녀가 부모에게 제공하는 조직적⋅재무적 살림살이의 관계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providing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housekeeping to parents : moderating effects of asset : 자산의 조절효과 검증 민인식, 홍경준, 전예지 p. 129-151
McClusky 노년교육요구에 기초한 노인복지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at senior welfare centers based on McClusky’s educational needs of the ageing 최수연, 최일선, 박민정 p. 153-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