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체육학의 인문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여성 및 젠더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여성체육에 대한 학술연구가 발행된 1955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체육학 인문사회분야 연구재단 등재지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문헌검색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CI) 등을 활용하였으며, 1404 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마이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빈도수가 높은 상위 핵심 단어 10개는 여성, 스포츠, 참여, 신체, 이용, 여성 지도자, 신체활동, 운동, 남성, 사회문화이다. 또한 삶-질, 여성-스포츠, 남성-여성, 중년-여성, 대학-엘리트, 여성-여성노인, 여성 지도자-권력, 엘리트-여성축구선수 순으로 관련성이 높다. 핵심키워드는 여성이며, 여성운동선수, 삶, 대학이 의미 있는 핵심키워드이다. 둘째, 여성 및 젠더연구의 6개 topic은 스포츠에 관한 사회 심리적 인식, 운동선수 및 지도자의 정체성, 학교체육 분야, 노인·중년의 신체활동인식 및 변화, 젠더 불평등 및 폭력, 여성 체육 정책이다. 결론 체육학 인문사회분야의 여성 및 젠더지식의 구조는 광범위하며, 학문적 경계가 명확하다. 체육학 분야의 여성 및 젠더 연구의 지식구조의 확장성 및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학제적 접근의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knowledge structure of women and gender studi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sports science. Method Academic journals index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sports science, published from 1955 to 2020, were targeted for analysis. A total of 1404 articl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First, the top 10 high-frequency core words are women, sports, participation, body, utilization, female coaches, physical activity, exercise, men, and social culture. Additionally, keyword with high relevance include quality of life, women in sports, men-women, middle-aged women, university elites, women-elderly women, female coaches-power, and elite female soccer players. Second, the six topics of women and gender studies are social-psychological perceptions of sports, identity of athletes and coaches, school physical education, perceptions and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mong the elderly and middle-aged, gender inequality and violence, and women's sports policies. Conclusi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garding women and gend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sports science is extensive, with clear academic boundaries. Research employ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s necessary to ensure the scalability and diversity of knowledge structures in women and gender studies within the field of sports scienc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