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와 그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순차적인 매개역할을 가정하는 순차적인완전매개모형과 순차적인부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이 두 가지 매개모형들과, 대안 모형으로 상정된 병렬매개모형 및 단순효과모형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대학생 20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여러 모형들 중에서 순차적인 부분매개모형이 가장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하지만 이 모형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에서 비자살적 자해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이 경로를 제거한 수정된 순차적인 부분매개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이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자살행동의 관계 = The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suicidal behavior in North Korean defectors :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as sequential mediators :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의 순차매개효과 김예진, 장혜인, 안지현, 홍진표, 정서현 p. 1-24

ADHD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마인드 원더링과 작업 기억 용량과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wandering and working memory capacity in college students with ADHD traits 김인아, 김명선 p. 25-50

주요어 추출방식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 기반 한국 성인의 스트레스 경험목록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 Stress experiences of Korean adults based on text analysis using keyword tagg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anxiety 문혜주, 신유철, 이성우, 이소정, 오유나, 이우열, 유성은 p. 51-77

자기자비중심의 명시-암묵 혼합 정서조절전략이 부적응적 완벽주의자의 수치심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tilizing self-compassion as an explicit-implicit hybri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shame and negative a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ts 여환홍, 윤혜영 p. 79-102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권지은, 유성은 p. 103-131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non-suicidal self-injury :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순차적 매개역할 김도연, 조용래 p. 133-159

한국판 성인 피부 뜯기 차원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K-MIDAS) 여선경, 박선영, 김지영 p. 161-182

신체이형 증상 수준이 높은 여자 대학생의 자기참조적 분노 정서 편향과 관계사고와의 관련성 = Self-referent recognition bias for anger emo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body dysmorphic symptoms 심지은, 김명선 p. 183-206

주관적 인지 저하 호소 정도의 진단적 유용성 탐색 = Exploring the diagnostic utility of self-reported cognitive complaints 노은정, 임선진, 김가영, 주채린, 이원혜, 한주현 p. 207-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