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인공지능을 이용한 웹기반 건축현장 안전관리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web-based construction-site-safety-management platfor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김시욱 ; 김은석 ; 김치경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기술환경 분석 2

2.1. 현장 안전관리 현황 및 한계 2

2.2. BIM 기술의 한계 2

2.3. BuilderHub의 개발 3

2.4. 인공지능 기술의 현황 및 활용 가능성 3

3. 안전관리 플랫폼 설계 3

3.1. 공종별 상세설계 BIM 모델 3

3.2. 상세설계 모델 기반 내역 및 공정표 4

3.3. 설계/자재/작업 객체 연계 안전관리 템플릿 설계 4

3.4. 선행 프로젝트 활용 빅데이터 4

3.5. 참여주체간 공유형 웹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 5

4. 안전관리 플랫폼 개발 5

4.1.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데이터 분석 프롬프트 생성 5

4.2.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5

4.3. BIM 모델 정보생성 프로세스 6

4.4. BIM 모델과 안전사고 정보 병합 6

5. 평가 7

5.1. 기존 안전관리 정보 산출과 프로세스 비교 7

6. 결론 및 시사점 7

References 8

요지 8

초록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건설산업은 전통적인 업무 방식에서 디지털 프로세스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건설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업무절차의 변경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점진적인 디지털 전환 및 시행착오가 발생하고 있다.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분야도 역시 이 흐름을 따라 모든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자동화를 목표로 연구 및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건설업 안전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안전사고 사망자 수도 줄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의 빅데이터를 대규모 언어모델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상세설계모델로부터 위치정보와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여 안전관리가 필요한 현장모델링에 정보를 맵핑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건설현장 안전관리 데이터의 디지털화를 통한 시설물 및 근로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건설사고 예방 및 효과적인 교육 지시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In the fourth industrial-revolution era,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transitioning from traditional methods to digital processes. This shift has been challenging owing to the industry’s employment of diverse processes and extensive human resources, leading to a gradual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through trial and error. One critical area of focus is the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which is undergoing significant research and efforts towards digitization and automation. Despite these initiatives, recent statistics indicate a persistent occurrence of accidents and fatalities in construction site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utilizes large-scale language-model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alyze big data from a construction safety-management information network. The findings are integrated into on-site models, which incorporate real-time updates from detailed design models and are enriched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for enhanced safety managemen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big-data–driven safety-management platform to bolster facility and worker safety by digitizing construction-site safety data. This platform can help prevent construction accidents and provide effective education for safety practic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을 이용한 웹기반 건축현장 안전관리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web-based construction-site-safety-management platfor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김시욱, 김은석, 김치경 p. 77-84

보기
부유식 구조체 운동 해석을 위한 시스템 식별 방법을 이용한 상태공간방정식 모델 = State-space equation model for motion analysis of floating structures using system-identification methods 성준식, 박원석 p. 85-93

보기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마모량 측정센서 브라켓의 다이나믹크리깅 대리모델 기반 설계최적화 = Design optimization of bracket for wear sensor of automobile brake pads based on dynamic kriging surrogate model 정준영, 유정주, 변경석, 조현규 p. 95-101

보기
증기운 폭발을 받는 플랜트 시설물의 내폭설계를 위한 구조 해석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structural-analysis model for blast-resistant design of plant facilities subjected to vapor-cloud explosion 최보영, 이승훈, 김한수 p. 103-110

보기
구조물내응답스펙트럼 스케일링 근사 방법 개발 및 검증 =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pproximate methods for in-structure response spectrum (ISRS) scaling 곽신영, 고채연, 임승현, 정재욱, 최인길 p. 111-118

보기
교량의 지진취약도에 대한 속도 펄스를 가진 지반운동의 영향 = Effect of velocity-pulse-like ground motions on seismic fragility of bridges 김예은, 꽁씨나, 꽁씨닛, 문지호, 송종걸 p. 119-131

보기
비선형 유체-구조물-지반 상호작용 고려한 원통형 액체저장탱크의 지진응답해석 =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cylindrical liquid-storage tanks considering nonlinear fluid-structure soil interactions 이진호, 조정래 p. 133-141

보기
Unet-VGG16 모델을 활용한 순환골재 마이크로-CT 미세구조의 천연골재 분할 = Segmentation of natural fine aggregates in micro-CT microstructures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Unet-VGG16 홍성욱, 문덕기, 김세윤, 한동석 p. 143-14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