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언론과 학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할만한 실증적인 근거는 부재했다. 2000년 이후 실시된 6차례의 국회의원 선거 유권자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 유권자들에게서 ‘과정’으로서의 정서적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는가를 검증했다. 집합수준과 개인수준의 분석 결과 한국에서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인식을 뒷받침할만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집합수준 분석에서 당파성이 있는 유권자만을 대상으로 한 양극화 지수나, 무당파를 포함한 와그너 양극화 지수 모두 2004년에 가장 높은 값을 기록했으며, 그 이후 2016년까지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졌다.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정서적 양극화가 증가했지만, 2022년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결과 그러한 증가세가 지속되지는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한 당파적 정체성, 이념강도와 같은 유권자의 개인적인 성향과 함께 정당의 이념적 위치에서 확인되는 정당의 이념적 양극화에 대한 인식이 정서적 양극화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했지만, 이들 변수들이 정서적 양극화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근거는 발견하지 못했다.

Despite concerns about the increasing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Korean voters,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is claim.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ffective polarization as a 'process' is occurring among Korean voters, exploiting voter opinion polls from six National Assembly elections conducted since 2000. The analysis at both the aggregate and individual levels failed to find evidence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in Korea. At the aggregate level, both the partisan based polarization index and the Wagner polarization index which includes non-partisans, peaked in 2004, followed by a decreasing trend until 2016. There was an increase in emotional polarization between 2016 and 2020, but further analysis in 2022 revealed that this increase is not continuing. At the individual level, we reconfirm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ffective polarization and factors like strong partisan identity, ideological intensity, and perceptions of ideological polarization within parties; however, this study did not find evidence that these variables are exacerbating affective polariz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오인과 과장 사이 = Between misperception and exaggeration : a longitudinal analysis of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Korean voters (2000 ~ 2022) :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에 대한 종단 분석(2000년 ~ 2022년) 강우창, 이준호 p. 7-32

사전투표제 도입과 선거 당일 날씨 효과 = Early voting and election-day weather effects : an analysis of the 18th~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 제18~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투표율과 정당득표율 분석 강우창, 김지한 p. 33-54

중국의 공세적 자본투자와 대만의 위험회피 전략 = Chinese offensive capital investment and risk-aversion strategy of Taiwan : focusing on the cases of media, financial,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 미디어 산업, 금융 산업,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지은주 p. 55-77

중국의 ILO 강제노동협약 비준 연구 = Process and motive behind China's ratification of ILO Forced Labor Conventions : 제29호 및 제105호 협약의 비준 과정과 동기를 중심으로 임석준, 양효욱 p. 79-102
미중 탈동조화의 현황, 함의, 전망 = Facts, implications and prospects of U.S.-China decoupling : focusing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U.S.-China interdependence : 미중 상호의존 구조의 역사적 진화를 중심으로 공민석 p. 10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