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환경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문제중심학습(이하 온라인 PBL)의 학습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온라인 PBL의 효과를 다룬 논문을 수집하였고 PICOS기준을 활용하여 전체 40편(학술논문은 22편, 학위논문 1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CMA V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효과크기는 평균차이를 나타내는 Hedges’ g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PBL의 전체 효과크기는 .704로 중간수준의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PBL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종속변인을 인지적 변인과 정의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정의적 변인의 효과크기(.829)가 인지적 변인의 효과크기(.647)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세부 요인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정의적 변인의 경우에는 학습흥미와 협업능력이 큰 수준의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학교급은 대학교, 교과는 대학에서의 전공 교과, 처치기간은 12주 이내, 처치집단 표본크기는 31~60명, 출판연도는 2010년대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끝으로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출판연도가 최근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PBL의 수업설계와 운영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conducted in the online environment. To this end, we collected papers o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PBL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22, and selected 40 papers (22 academic papers and 18 dissertations) using the PICOS criteria. The CMA V4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Hedges’ g, which represents the mean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online PBL was .704, indicating a moderate effect size. Therefore, online PBL was analyzed as a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approach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Second,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the effect size of the affective variable (.829)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effect size of the cognitive variable (.647).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sub-factors, it was analyzed that learning interest and collaboration ability had a large effect size in the case of the affective variabl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the school level was a university, the subject was a major subject at university, the treatment period was within 12 weeks, the sample size was 31 to 60, and the publication year was the 2010s,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Lastly,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loser the publication year was, the larger the effect size wa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strategies for online PBL class design and operation were presented.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