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환경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문제중심학습(이하 온라인 PBL)의 학습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온라인 PBL의 효과를 다룬 논문을 수집하였고 PICOS기준을 활용하여 전체 40편(학술논문은 22편, 학위논문 1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CMA V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효과크기는 평균차이를 나타내는 Hedges’ g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PBL의 전체 효과크기는 .704로 중간수준의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PBL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종속변인을 인지적 변인과 정의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정의적 변인의 효과크기(.829)가 인지적 변인의 효과크기(.647)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세부 요인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정의적 변인의 경우에는 학습흥미와 협업능력이 큰 수준의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학교급은 대학교, 교과는 대학에서의 전공 교과, 처치기간은 12주 이내, 처치집단 표본크기는 31~60명, 출판연도는 2010년대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끝으로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출판연도가 최근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PBL의 수업설계와 운영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conducted in the online environment. To this end, we collected papers o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PBL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22, and selected 40 papers (22 academic papers and 18 dissertations) using the PICOS criteria. The CMA V4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Hedges’ g, which represents the mean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online PBL was .704, indicating a moderate effect size. Therefore, online PBL was analyzed as a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approach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Second,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the effect size of the affective variable (.829)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effect size of the cognitive variable (.647).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sub-factors, it was analyzed that learning interest and collaboration ability had a large effect size in the case of the affective variabl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the school level was a university, the subject was a major subject at university, the treatment period was within 12 weeks, the sample size was 31 to 60, and the publication year was the 2010s,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Lastly,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loser the publication year was, the larger the effect size wa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strategies for online PBL class design and operation were present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실시간 원격교육에서 실재감 지각 요인에 대한 고찰 = Investigating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presence in real-time distance education : a comparative study focused on video conferencing and metaverse platforms : 화상회의 플랫폼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민철, 한승지, 박인우 p. 255-278

하브루타 토론활동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havruta discussion activities on AI literacy : focused on pre-service teachers :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정선영, 김수연 p. 279-302

교사의 AI·디지털 활용 현황 및 요구에 기반한 지원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support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teachers' use of AI and digital devices 임유진, 홍선주, 임지영 p. 303-323

가상현실 활용 간호실습교육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 제공이 인지부하,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strategies on cognitive load, self-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VR nursing practice 기수현, 류지헌, 임태형 p. 325-348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을 위한 교사 역량 모델 개발 = A developmental study on teacher competency model for data based personalized instruction 금선영, 조영환 p. 349-375

학습분석 기반 초등학생 협동심 하위집단 예측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predictive mod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operation based on learning analysis 기은미, 박지연 p. 377-403

고등교육에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 교수의 경험 연구 = A study of university professors’ experiences regarding the pedagogical use of ChatGPT in higher education : a grounded theory perspective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혜림, 김세영, 이요안 p. 405-427

이러닝 환경에서 디지털 휴먼 교수자의 유형이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인식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ypes of digital human instructors on learners’ perceptions of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장민경, 이현우 p. 429-449

예비교사의 PBL 학습 과정 및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PBL learning process and influencing factors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AI literacy : AI 리터러시 영향력을 중심으로 신소영 p. 451-469

온라인 맥락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 context of online 이동건, 이희숙 p. 471-495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허희옥, 서정희, 임규연, 임경희, 이현우, 강신천 p. 497-521

초⋅중등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메타버스 학습환경 설계원리 개발 = Development of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principles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이다연, 채지윤, 이진연, 엄태연 p. 523-547

국내 수업분석의 연구동향 파악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 =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of teaching analytics : a systematic review 추영선, 신부경, 김혜준, 한예원, 은선민 p. 549-570

대학 기초교육에서 AI 코스웨어 활용 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for class using AI courseware in university basic education 신종호, 황영아 p. 571-594

기계학습 기반 대학원생 학업중단 예측 연구 = A study on predicting dropout of graduate students based on machine learning : a case of K university : K 대학을 중심으로 김태윤, 윤병연 p. 595-617

ChatGPT 활용 연구 경험을 통한 대학원생의 인간-AI 협력 역량 탐색 = Exploring graduate students' human-AI collaboration skills based on their research experience with ChatGPT 정수정, 임다미 p. 619-640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 Development of an AI chatbot prototype to support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 focusing on the idea generation stage : 아이디어 발상 단계를 중심으로 전우정, 문현경, 김민지 p. 64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