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와 연계한 그림책 활용 사회정서학습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J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배치된 3-4학년 학생 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통합학급 학생들에게는 도덕과와 연계한 그림책 활용 사회정서학습을 주 2-3회씩 총 2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후 통합학급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과 학교생활만족도 검사를 활용하여 측정한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각각 공분산 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측정한 사회정서역량 및 학교생활만족도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기술통계표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통합학급 전체 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장애학생은 사회정서역량 점수의 향상을 보였지만, 학교생활만족도 점수는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논의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ocial-emotional learning using picture books in connection with moral education o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Thirty students assigned to an inclusive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using picture books linked to the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2-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0 sessions. Afterwards,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measured using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ests for all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 covariance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pre- and post-test scores measur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a descriptive statistics t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cores of inclusive class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mproved. And, althoug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ocial-emotional competency scores,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s decreased. Finally, the meaning of this study's results was interpreted through a discussion proc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울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성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박소연, 김현숙 p. 1-29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음악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조 분석 = A structural analysis of practical knowledge on music instruction by teachers at deaf schools 주지현, 최성규 p. 30-55

한 음절 카드를 활용한 다중반응교수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텍스츄얼 습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utilizing single-syllable cards on textual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정지은 p. 56-85

지적장애 특수학교 학교폭력 업무 담당 교사의 업무 경험 및 지원 요구 = Request for work experience and support of teacher in charge of school violence in special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조창빈 p. 86-115

장애이해교육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과 인식 =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ilities : 장애공감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기초 연구 이수정, 박병숙, 임장현 p. 116-154

구체적-반구체적-추상적 단계의 명시적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뺄셈 연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n explicit CSA steps of instruction on the subtraction ability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박진영 p. 155-180

특수학급 고교학점제 운영 절차 개선을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 = Suggestions mad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mprove operation procedur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eduation class 류규태 p. 181-207

초등학교 교사의 교권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edagogical authority on psychological exhaustion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이승미, 최보영 p. 208-233

유아특수교육 분야 국내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 관련 전문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04~2023) 조현근 p. 234-273

도덕과와 연계한 그림책 활용 사회정서학습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using picture books integrated with moral education on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손지은, 최하영 p. 274-310

초등학교 장애이해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disabilities :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to compulsory education : 법정의무교육 실시 전후를 중심으로 임민라, 조은혜, 이미지 p. 311-340

특수교육대상학생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 개선방안에 대한 IPA 분석 = IPA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centered field trai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나경은, 하창완, 임소정 p. 341-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