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교육과 K-project 교과의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K-project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 focusing on career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adaptability :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
조혜영
|
p. 1-13
|
|
|
|
초등학교 인공지능 캠프 프로그램이 인공지능기술 태도 및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camp programs on attitudes towards AI technology and data literacy skills
|
김민상, 김경이, 김형욱, 김정은
|
p. 15-25
|
|
|
|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 분석과 사용성 향상 방안 = Educational utilization possibility and usability improvement plan of metavers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박찬우, 이재욱
|
p. 27-42
|
|
|
|
한국어 개념적 은유의 문화상대주의적 특성과 이에 따른 교육 방안 = Cultural relativistic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metaphors in Korean and educational approaches based on them
|
김영상
|
p. 43-60
|
|
|
|
간호대학생의 자기자애, 긍정심리자본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Self-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stress
|
장수현
|
p. 61-71
|
|
|
|
학생 현장탐방형 META-HyFlex 혁신 수업모형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META-HyFlex innovation class model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a case study of Soongsil University : 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박현희, 곽민정
|
p. 73-89
|
|
|
|
초보자 테니스 운동활동에서 긍정적 사고와 운동자기도식이 코칭 역량 부합과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검증 = Verifying of the effect of positive thinking and athletic self-direction on athletic satisfaction in beginner tennis sports activities in line with coaching competence
|
임지헌
|
p. 91-102
|
|
|
|
대학생 성과 평가에 있어 생성형 AI 과제 활용 수용 의사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ng students' intentions to use generative AI in college assignments :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of perceived unfairness and detection possibility : 불공정성 지각과 적발 가능성의 조절된 매개 모형
|
최성원
|
p. 103-118
|
|
|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전이 양상과 영향 요인 검증 = Exploring th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tial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
최효식, 연은모
|
p. 119-134
|
|
|
|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위한 AI 융합 영어 쓰기 수업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n AI-integrated English writing class mode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 focused on prompt engineering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
조민지, 김미래, 윤영집, 신병철
|
p. 135-157
|
|
|
|
대학생 구성주의 진로 집단상담의 효과요인 연구 = A study of effectiveness factors of constructivist career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
강수민, 도교동, 이상희, 이윤주
|
p. 159-172
|
|
|
|
대학생 대상 강의와 진로구성주의 기반 성찰중심 활동을 절충한 진로교과목 운영 및 효과 분석 =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career courses that compromise lectures and reflection-focused activities based on career constructivism for college students
|
강혜정
|
p. 173-189
|
|
|
|
영아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인식탐색 =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of play-centered curriculum : using photovoice :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
이지은, 김영숙
|
p. 191-209
|
|
|
|
2년제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경험 탐색 = Exploring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
박선미
|
p. 211-224
|
|
|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관계 분석 = A structural analysi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기정, 이태상
|
p. 225-240
|
|
|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 relationship perceptions : 교사관계 인식의 종단적 매개효과
|
김상우, 정성진
|
p. 241-259
|
|
|
|
어머니의 가족건강성 인식과 중학생 자녀의 회복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others' perceived family strength, resilience, tolerance academic failure and school adjust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박경희, 윤미선
|
p. 261-273
|
|
|
|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보상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inforcement experience of smartphone usag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 대인관계 지향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
|
김은영, 김지영, 박선영
|
p. 275-286
|
|
|
|
요양병원에서의 낙상사고 관련 요인 = Factors related to fall inc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윤숙희
|
p. 287-296
|
|
|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 간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self-forgiveness :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
정혜선
|
p. 297-310
|
|
|
|
창작 주체성 보호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 수업의 설계 및 교수 전략 = Desig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to protect creative autonomy :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art class : 중학교 예술 수업을 중심으로
|
손유림, 김주현, 지경아
|
p. 311-331
|
|
|
|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로성숙도, 창의성 간의 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분석 :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panel analysis for longitudinal data
|
Jihyun Kim, Sungbin Kim, Yeji Kim
|
p. 333-354
|
|
|
|
대학에서의 교과목 인증제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in university : focusing on university A : A대학을 중심으로
|
조영재
|
p. 355-373
|
|
|
|
멘토링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교직실무 수업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eaching practice class based on mentoring for pre-service teachers
|
김윤희
|
p. 375-392
|
|
|
|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 식문화 적응 양상 = Aspects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ing to Korean food culture : based on Berry's cultural adaptation theory : Berry의 문화 적응 이론을 바탕으로
|
송영희
|
p. 393-408
|
|
|
|
서양의 음악교육 문헌에서 나타나는 즉흥음악에 대한 주요한 이슈 탐색 및 논의 = An exploration of critical issues relating to improvisation in Western music education
|
김강원
|
p. 409-424
|
|
|
|
우리나라 수학 사교육 참여율과 참여자 특성 국제 비교 =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articipation rates and participant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tutoring in Korea : focusing on PISA 2022 and TIMSS 2019 results : PISA 2022와 TIMSS 2019 결과를 중심으로
|
김화경
|
p. 425-443
|
|
|
|
전문 번역 교육 수업 운영 사례 = A case of operating professional translation education classes : focused on translation classes for Korean-Vietnamese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major : 한⋅베통번역전공 번역 수업을 중심으로
|
최영란
|
p. 445-458
|
|
|
|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동기부여를 위한 사전훈련이 성인학습자의 주의집중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ivational pre-training on adult learners' attention and motivation in multimedia learning
|
홍주영, 손지현, 신윤희
|
p. 459-473
|
|
|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팀 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eam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project-based learning with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
이종연
|
p. 475-495
|
|
|
|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 한국어 프로그램 현황과 학습자 특성 연구 = Korean language program and learner characteristics a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a case studyof the Korean program at K university : K대학 한국어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김보영, 한혜민
|
p. 497-507
|
|
|
|
미술치료 학사과정 내 미술재활 현장실습 교과목을 통한 학습자의 경험 및 역량변화 연구 =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competency of learners through art therapy fieldwork in rehabilitation course within the art therapy undergraduate program
|
김도희, 김지은, 박종현, 박소현, 이정인
|
p. 509-527
|
|
|
|
구성주의 리더십에 근거한 교사 리더십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 Exploring the meaning and activation plan of teacher leadership based on constructivist leadership
|
정진욱, 권동택
|
p. 529-543
|
|
|
|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경찰 직무스트레스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police officer's job stres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박미영, 강수정, 천성문, 전은주
|
p. 545-559
|
|
|
|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지각된 인기의 종단적 관계 =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aggression and perceived popularity in elementary school :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mmunity and friendship centralization : 또래 공동체 의식과 친구관계 집중화도의 조절효과
|
김진구, 박진이
|
p. 561-572
|
|
|
|
‘사회적 공감’ 교육 모형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lesson method of university writing using the 'social empathy' education model : focusing on writing criticism :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
한주희
|
p. 573-589
|
|
|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및 성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목표안정성,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ersonalit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tability of career goa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관점에서
|
이알찬, 홍정순
|
p. 591-605
|
|
|
|
부⋅모⋅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구조적 관계 탐색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maternal, and child smart device dependence, the amount of family time, and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
김은향
|
p. 607-618
|
|
|
|
챗GPT를 활용한 시쓰기 방안 연구 = A study on poetry writing using ChatGPT : focusing on user perception and educational approaches : 사용자로서의 인식과 교육적 접근 방안을 중심으로
|
양일동
|
p. 619-634
|
|
|
|
정신건강복지센터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역량,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competency and job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
김미정, 임정혜
|
p. 635-648
|
|
|
|
‘과거사 청산’을 주제로 한 고등학교 한국사의 수업 내용 선정 방안 = Selecting learning elements for a high school Korean history class on the topic of 'truth and justice'
|
김민수
|
p. 649-669
|
|
|
|
한국인 미국 유학생의 진로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탐색 = A exploratory study on career stress experience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U.S.
|
라영안
|
p. 671-685
|
|
|
|
중학생 스마트기기 활용학습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
정경혜
|
p. 687-701
|
|
|
|
담화맥락을 고려한 발문 반성 활동이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반성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the reflective activity of question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on
|
김성훈
|
p. 703-723
|
|
|
|
한국 영어 듣기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영어 실제(authentic) 자료 보통속도 연구 = A study on the normal speed of various authentic English materials for Korean English listening learners
|
차경환, 차경희
|
p. 725-739
|
|
|
|
인쇄 공익광고에 나타난 설득의 전략으로서의 개입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engagement as a persuasion strategy in print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
차명희
|
p. 741-758
|
|
|
|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out-of-school youth
|
권사무엘, 홍정순
|
p. 759-774
|
|
|
|
그룹 음악치료가 노인의 사회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soci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최영조, 이지경
|
p. 775-788
|
|
|
|
육도윤회척도(SRSS)의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Six Realms Samsara scale :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
방선귀, 송영숙
|
p. 789-804
|
|
|
|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양육 특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other's socioeconomic background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
김미영, 김현정
|
p. 805-822
|
|
|
|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fe experience in Korean universities
|
Yan Xichen, Tai Xuemei, 김병찬
|
p. 823-839
|
|
|
|
메타버스 젭(ZEP)을 활용한 중학생의 그림책 하브루타 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icture book havruta activities on metaverse 「ZEP」
|
남선화, 이윤주
|
p. 841-862
|
|
|
|
문학 글쓰기의 과제 수행에 대한 분석 연구 = Analysis of the results of university students' literary writing for self-growth
|
정은주
|
p. 863-895
|
|
|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n digital competency : focus on borich need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델을 중심으로
|
한지원, 곽은복
|
p. 897-910
|
|
|
|
제조업 MZ세대 조직몰입 변인 간 구조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Z gener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multiple group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 무형식학습 참여 여부 다중집단 분석
|
이종훈
|
p. 911-929
|
|
|
|
ARCS 학습 동기 모델을 적용한 프로젝트 기반 음악 수업 방안 = Application of ARCS learning motivation model in project-based music class
|
한송이
|
p. 931-94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