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8년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약칭: 연명의료결정법) 도입으로 자문형 호스피스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실제 이용 환자의 경험에 대한 논의는 제한돼 있다.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주되게 채택하는 자문형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 환자의 경험과 인식을 당사자의 입장에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2022년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의 자문형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 암환자 10명이다. 인터뷰 내용을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등록 후의 심경’, ‘긍정적인 경험’, ‘부정적인 경험’, ‘나만의 대처 방안’, ‘호스피스 이용자로서의 필요와 희망’의 6개 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자문형 호스피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인프라 확충, 환자를 위한 심리정서적 돌봄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n consultation-based hospice and to understand their main concerns and wishes. Although consultation-based hospice was implemented in 2018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little is known about the actual experiences of patients. 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10 participants in a tertiary hospital based in Seoul. Six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perceptions on hospice, state of mind following admission into hospice, positive experiences, negative experiences, inner resources for coping, hopes and expec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용치료원 보유에 따른 의료이용 양상 = The effect of usual source of care (USOC) on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임유나, 이태진 p. 3-24

식중독에 의한 총질병비용 분석 = Total societal cost of food poisoning patients 진현정, 김예솔, 최성희 p. 25-46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health check-up service utilization in China = 중국 내 건강검진 서비스 사용 결정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대한 연구 Liu, Chang, Cho, Insook p. 47-72

성별 연금 격차의 차이와 차별에 관한 실증 = An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in gender pension gap 한겨레 p. 77-102

장애인 개인예산제의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personal budgets for disabled people : individualized support plan utilizing ICF : ICF를 활용한 개인별 지원계획의 수립 신은경, 이한나 p. 99-120

재난피해자의 정신건강 문제 유형화 및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ology of mental health issues among disaster victims and their transferring influential factors 전진호, 이성규 p. 121-140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범불안 수준의 예측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predictors for general anxiety level of adolescents based on a decision tree model 이상미 p. 141-163

청년의 확장실업이 소득, 사회자본, 우울을 매개하여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xtended unemployment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youth : mediating effects of earnings,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김건식 p. 164-190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mpact of drinking frequency on young adults’ depression = 음주 빈도가 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성별 차이 분석 :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Jang, Si-On, Kim, Do-Hyun p. 191-217

중·노년기 사회적 지지가 가족간병 부담과 우울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Family caregiving burden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 examining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cross gender, age, and rural vs. urban contexts : 성별, 연령, 도농지역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진경, 조용미, 정무권, 박지영 p. 218-244

한국인의 기후불안 수준 및 특성 = Characteristics of climate anxiety in South Korea 채수미, 김혜윤, 이수빈 p. 245-267

노인의 사회경제적 집단 유형별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추이 = Trends in the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by socioeconomic group type in the elderly : focusing on medical·long-term care·welfare service : 의료·돌봄·복지 중심으로 오유라 p. 268-297

말기 암환자의 자문형 호스피스 이용경험 연구 = A study on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s regarding consultation-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고주미, 이채원, 한형숙, 유신혜, 김범석 p. 298-324

장애인 건강 상태의 재구성 = Reconstructing the secondary health condi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illness narrative analysis : 이차적 건강 상태 경험에 관한 질병 내러티브 분석 문영민 p. 325-350

고령 임금 근로자의 직장이직과 직업이직 영향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 to leave the current employer and occupation among elderly wage workers :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engagement in simple labor jobs : 단순노무직 여부에 따른 차이 비교 이종화, 황영현, 최수찬 p. 351-369

시스템 사고로 본 의대 정원 이슈 고찰 = Analysis of the medical school admission quotas issue through systems thinking 이견직 p. 370-397

육아휴직제도 변화와 여성 임금근로자의 취업 상태 = Changes in parental leave polic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emale wage workers’ employment status 이지혜, 진미정 p. 398-425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유형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 focusing on the famil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home care recipients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을 중심으로 김민수, 이용호, 송지은 p. 426-448

기혼여성의 취업 여부 및 고용불안 경험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 =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ccording to employment, un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of married women : focusing on age heterogeneity :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최지희, 이준협 p. 449-471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수영, 이병숙. (2013).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 수용 경험: 현상학적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43(6), pp.781-79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2644 미소장
2 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2015).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 대한종양간호, 15(4), pp.264-27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2262 미소장
3 김혜정, 고수진. (2014). 말기 암 환자들의 필요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2), pp.93-11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76274 미소장
4 노유자, 강경아, 고수진, 구영모, 구인회, 권소희 등. (2018). 호스피스·완화의료-의미 있는 삶의 완성. 서울: 현문사. 미소장
5 박영택, 오주연, 신양주, 이다희. (2020). 자문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성과 평가 및 건강보험 적용방안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6 보건복지부. (2019). 제1차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2019~2023). 미소장
7 보건복지부. (2021). 국가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례보고서. 미소장
8 보건복지부. (2022). 국가암등록통계. 미소장
9 안은정, 이영숙. (2005). 말기암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 대한종양간호학회, 5(1), pp.40-5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14359 미소장
10 오주연, 이다희, 임재우, 신양준, 박다혜, 유혜림 등. (2020).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제도개선 방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11 육태미, 박영민, 최정규, 임현선, 장태익, 최윤경 등. (2022). 입원형과 가정형 및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연계 이용 연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미소장
12 이옥자. (1995). 말기 암환자의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25(3), pp.510-536. 미소장
13 이용호 국회의원실. (2020. 9. 30.). 42개(0.06%)뿐인 상급종합병원에 암환자의 62% 쏠려[보도자료]. 미소장
14 이태연, 권윤희. (2014).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pp.175-18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175. 미소장
15 중앙호스피스센터. (2024). 호스피스 완화의료 정의. http://hospice.go.kr:8444/?menuno=9에서 2024. 1. 20. 인출 미소장
16 Braun, V., Clarke, V. (2014). What can ‘thematic analysis’ offer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 Well-Being, 9(1), pp.26152-. doi: https://doi.org/10.3402/qhw.v9.26152. 미소장
17 Broom, A., Cavenagh, J. (2011). On the meanings and experiences of living and dying in an Australian hospice. Health: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for the Social Study of Health, Illness and Medicine, 15(1), pp.96-111. doi: https://doi.org/10.1177/1363459309360797. 미소장
18 Clark, D. (2014). The project of death in America: Twenty years on End of Life Studies. http://endoflifestudies.academicblogs.co.uk/the-project-on-death-in-america-twenty-years-on/에서 2023. 3. 1. 인출 미소장
19 Collins, A., McLachlan, S., & Philip, J. (2017). Initial perceptions of palliative care: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Palliative Medicine, 31(9), pp.825-832. doi: https://doi.org/10.1177/0269216317696420. 미소장
20 Collins, A., McLachlan, S., & Philip, J. (2018). Communication about palliative care: A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ing patient views and responses to its discussion. Palliative Medicine, 32(1), pp.133-142. doi: https://doi.org/10.1177/0269216317735247. 미소장
21 Eliott, J. A., Olver, I. N. (2009). Hope, life, and death: A qualitative analysis of dying cancer patients' talk about hope. Death studies, 33(7), pp.609-638. doi: https://doi.org/10.1080/07481180903011982. 미소장
22 Greisinger, A. J., Lorimor, R. J., Aday, L. A., Winn, R. J., & Baile, W. F. (1997).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ir most important concerns. Cancer Practice, 5(3), pp.147-154. 미소장
23 Huang, H. S., Zeng, T. Y., Mao, J., & Liu, X. H. (2018). The understanding of death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China: An initial study. Cambridge Quarterly of Healthcare Ethics, 27(3), pp.421-430. doi: https://doi.org/10.1017/S0963180117000809. 미소장
24 Janah, A., Le Bihan-Benjamin, C., Mancini, J., Bouhnik, A. D., Bousquet, P. J., & Bendiane, M. K. (2020). Access to inpatient palliative care among cancer patients in France: An analysis based on the national cancer cohort.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 pp.1-12. doi: https://doi.org/10.1186/s12913-020-05667-8. 미소장
25 Janberidze, E., Poláková, K., Motlová, L. B., & Loučka, M. (2021). Impact of palliative care consult service in inpatient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MJ Supportive & Palliative Care, 11(4), pp.351-360. doi: https://doi.org/10.1136/bmjspcare-2020-002291. 미소장
26 Kirk, P., Kirk, I., & Kristjanson, L. (2004). What do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are for cancer and their families want to be told? A Canadian and Australian qualitative study. BMJ, 328(7452), pp.1343-1347. doi: https://doi.org/10.1136/bmj.38103.423576.55. 미소장
27 Kyota, A., Kanda, K. (2019). How to come to terms with facing death: A qualitative stud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BMC Palliative Care, 18, pp.1-10. doi: https://doi.org/10.1186/s12904-019-0417-6. 미소장
28 Lincoln, Y. S.,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doi: https://doi.org/10.1016/0147-1767(85)90062-8. 미소장
29 Sarradon-Eck, A., Besle, S., Troian, J., Capodano, G., & Mancini, J. (2019). Understanding the barriers to introducing early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2(5), pp.508-. doi: https://doi.org/10.1089/jpm.2018.0338. 미소장
30 Schneiter, M. K., Karlekar, M. B., Crispens, M. A., Prescott, L. S., & Brown, A. J. (2019). The earlier the better: The role of palliative care consultation on aggressive end of life care, hospice utilization, and advance care planning documentation among gynecologic oncology patients. Supportive Care in Cancer, 27, pp.1927-1934. doi: https://doi.org/10.1007/s00520-018-4457-x. 미소장
31 Scott, M., Shaver, N., Lapenskie, J., Isenberg, S. R., Saunders, S., Hsu, A. T., & Tanuseputro, P. (2020). Does inpatient palliative care consultation impact outcomes following hospital discharge? A narrative systematic review. Palliative Medicine, 34(1), pp.5-15. doi: https://doi.org/10.1177/0269216319870649. 미소장
32 Tate, C. E., Venechuk, G., Brereton, E. J., Ingle, P., Allen, L. A., Morris, M. A., & Matlock, D. D. (2020). “It’s like a death sentence but it really isn’t” What patients and families want to know about hospice care when making end-of-life decision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7(9), pp.721-727. doi: https://doi.org/10.1177/1049909119897259. 미소장
33 Warmenhoven, F., Lucassen, P., Van Weel, C., Vermandere, M., Aertgeerts, B., & Vissers, K. (2016). ‘Life is still worth living’: A pilot exploration of self-reported resources of palliative care patients. BMC Family Practice, 17, pp.1-6. doi: https://doi.org/10.1186/s12875-016-0450-y. 미소장
34 Whitford, K., Shah, N. D., Moriarty, J., Branda, M., & Thorsteinsdottir, B. (2014). Impact of a palliative care consult servic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1(2), pp.175-182. doi: https://doi.org/10.1177/1049909113482746. 미소장
35 Wu, L., Chu, C., Chen, Y., Ho, C., & Pan, H. (2016). Relationship between palliative care consultation service and end-of-life outcomes. Supportive Care in Cancer, 24, pp.53-60. doi: https://doi.org/10.1007/s00520-015-274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