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기독교 세계관의 백미’라고 평가받는 알버트 월터스의 ‘구조-방향’ 도식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대안으로 ‘정사와 권세’를 제안한다. 비판의 요체는 구조-방향 도식의 보수화가 아니라, 구조 악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방향의 왜곡으로 인한 문제만큼이나 구조 자체가 잘못되어서 악과 고통이 발생하는 문제도 중요하다. 손봉호와 라인홀드 니버,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밥 하웃즈바르트 등은 한목소리로 구조 자체가 악을 초래한다고 말한다.

대안으로 제시한 정사와 권세는 바울의 언어인데, 구조로 번역할 수 있다. 월터 윙크는 정사와 권세가 세계관적이라고 한다. 세계관과 마찬가지로 권세도 창조, 타락, 구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사와 권세는 구조-방향 도식 중 어느 것도 버리지 않으면서 구조 악을 잘 설명할 수 있다.

정사와 권세론에 입각한 실천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권세는 현재 타락하였고, 타락할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며, 그 권세를 절대화하는 우상화의 위험을 피하고, 피조물의 본분에 맞는 자리에 배치하는 것이다. 둘째, 정당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폭력과 선전을 정당화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회 자체가 새로운 권세 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This paper critically evaluates Albert Walters’ Structure-Direction schema, which has been called “the crown jewel of the Christian worldview,” and proposes principalities and powers as an alternative. The main criticism is not the conservatism of the structure-orientation schema, but its failure to account for structural evil. Evil and suffering are not as much about misdirection as they are about the structure itself. Bong-Ho Son, Reinhold Niebuhr, Nicholas Wolterstorff, Bob Goudzwaard and others are united in saying that structure itself causes evil.

The alternatives, principalities and powers, are specifically Pauline language, which many scholars say can be translated as structure. And Walter Wink argues that principalities and powers are worldviews. Like worldviews, power is also composed of creation, fall, and redemption. Therefore, principalities and powers has the distinct advantage of explaining structural evil without abandoning either of the structure-orientation models. Nonetheless, Walters, in a face-to-face conversation with Leslie Newbigin, argues that the basis for social participation is grounded in the creation principle. Newbigin points out that engagement based on the creation principle can lead to the error of approving of social and political evil structures, and recommends that we go so far as to reform fallen structures through the cross.

Finally, there are three main practices based on the theory of principalities and powers. Avoid the danger of idolatry, which absolutizes authority, which is fallen and always carries the risk of being corrupted, and place it in its proper place in creation. Then there is the refusal to justify violence and propaganda as a means to a legitimate end, and finally, the church itself becoming a new community of principalities and pow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사회 갈등 현상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성찰 = Christian et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al conflict phenomenon 성신형 p. 7-31

19-20세기 전환기 서양에서의 인종론의 등장과 정치적 변용 = The emergence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of racialism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n the West : 사회다윈주의, 우생학, 인종 위생학을 중심으로 오지석 p. 33-69

구조와 방향에서 정사와 권세로 = From structure and direction to principalities and powers : a critical reading of Walters’ Creation Regained :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의 비판적 독해 김기현 p. 73-110

기독교세계관으로 씌여진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 연구 = A study on Moon Bok-hee’s Korean modern Sijo poetry within Christian worldview 서성철 p. 111-143

누가의 문학 장치로 접근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pproached through Luke’s literary device 오영출 p. 181-212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론 = Ecclesiology in the AI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metaverse church as an extended church : 확장된 교회로서 메타버스 교회(Metaverse Church) 정동곤 p. 213-239

시뮬라크르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의 자기 정체성 = Christian self-identity in the age of Simulacre : on the relation of Plato’s concept of patricide and Paul Ricoeur’s theory of self-identity : 플라톤의 친부 살해 개념과 폴 리쾨르의 자기정체성 이론의 접점에서 최민식 p. 241-292

힐데가르트의 신비체험에 나타난 생태신학적 함의 = Eco-theological implications of Hildegard’s mystical experience : focusing on the non-dual integrity of creation and salvation : 창조와 구원의 비이원적 통전성을 중심으로 손병옥 p. 14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