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2022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학교음악교육 현장을 고려한 음악 수업 모델을 설계하고,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데 있다. 더불어 기후·생태환경 변화, 인구 구조 변화 등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복잡성과 다양성이 확대되면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의 필요성이 학교 현장에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학습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방식을 적용하여 프로젝트기반학습(PBL, Project-Based Learning)을 위한 음악 수업 모델과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이와 연계하여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 음악교과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내용요소를 고려한 OpenAI 저작도구를 활용한 창작 활동 중심의 음악 수업 지도안 방안 연구를 진행했다. 현재 Prompt 기반의 생성형 AI 기술 보급이 점차 확대되면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 현장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도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동향을 반영하여 실제 음악교육 수업에 보급될 수 있는 OpenAI 저작도구를 활용한 음악 수업 모델과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북미 지역의 성인 음악학습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의 성인을 위한 평생 음악학습의 시사점 도출 = Deriving implications for lifelong music learning for adult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adult music learning cases in North American region 강주현 p. 1-21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실제 =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김선미 p. 37-53

OpenAI 저작도구를 활용한 음악 수업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music class using OpenAI authoring tools : focusing on generative AI authoring tools based on prompt : Prompt 기반의 생성형 AI 저작도구 중심으로 박다해 p. 55-81

생성형 AI의 등장과 음악 창작 환경의 변화 = The advent of generative AI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usic composition landscape 박휴용 p. 83-114

초등학교 1-2학년의 기악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독일 그룬트슐레 교재 『Rondo 1/2』 분석 = An analytical study of the German grundschule teaching materials 『Rondo 1/2』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for 1st-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손민호 p. 115-137

문화예술교육사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Research on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teaching artists : focusing on technology convergence music education : 기술융합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안현지 p. 163-185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 협동을 통한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과 음악교육의 시사점 =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and its implications in music education 신지혜 p. 139-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