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 교육의 AI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using AI in college major education : focus on the course <Classical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Dankook University :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전비평론> 교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묘정 p. 13-38
대학 영작문 교과목에서 자동번역기 활용법 개선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automatic translators in English writing clas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김지은 p. 39-69
대학 토론대회 운영 현황 및 시사점 =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university debate contest :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고운, 고혜림 p. 71-97
대학 교양으로서 일반생물학 수업에서 ‘기후 변화’ 교육 = On teaching 'climate change' in general biology classes as part of liberal education 박돈하, 장수철 p. 99-121

가상현실 플랫폼 <로블록스>를 활용한 앙트러프러너십 기반 문제해결 콘텐츠 제작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problem solving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using virtual reality platform <ROBLOX> 배유나, 강주현, 이주혁 p. 123-155

교육과정의 계속성을 고려한 글쓰기 상담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to improve writing counseling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the curriculum 성은혜 p. 157-182

청소년 영화교육 정책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youth film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KOFIC policy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교육 정책의 흐름과 전환에 관하여 오세섭, 이아람찬 p. 183-213
만화자료 활용을 통한 지역 민주의거 교육의 확산 전략 제언 = Proposal for a strategy to spread local democratic uprising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cartoon materials : focus on The 3·8 Democratic Movement Seen Through Cartoons, Fireworks : 『만화로 보는 3·8민주의거, 불꽃』을 중심으로 이내관 p. 215-247
대학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목표와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management plan of university classics reading education : focusing on S university's <Reading Masterpieces> : S대학교 <명저읽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전영옥, 강옥희 p. 249-289
시스템 사고 적용 미술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rt instructional method of system thinking :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reclusive loner adolescents : 청소년의 은둔형 외톨이 현상을 중심으로 정옥희, 김혜경 p. 291-323
싱가포르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Exploring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s to support Singapore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최지연, 김상철, 주영효, 김희규 p. 325-367
공감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극교육의 가치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of theater educatio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mpathy : focusing on the experience structure of 'improvisational play creation' : ‘즉흥극 만들기’의 경험 구조를 중심으로 함현경 p. 1-24[실은 369-396]
인간-AI 공동창작 공연예술 특성 연구 =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AI collaborative creation performing arts : focused on Korean AI performing artworks : 국내 AI 공연예술 작품을 중심으로 김영윤, 조준희 p. 397-424
해녀 표상과 로컬리티 = The study on representation of Haenyeo and locality : focused on Lim Ho's <The Beach> : 서양화가 임호의 <해변>을 축으로 김정선 p. 425-448
조선 시대 한글의 사용 양상 = On the use and spread of Hangeul in the Joseon Dynasty 백낙천 p. 449-476
대규모 재난 시기 발현되는 공동체 미디어의 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community media in large-scale disasters : focusing on Daegu Seongseo Community FM <COVID-19 Special Live Broadcasting> : 대구성서공동체FM <코로나19 특별 생방송>을 중심으로 장지은 p. 477-508

조선시대 설행된 여제(厲祭)의 제장 연구 = A study on the ritual space of Yŏ-je in Joseon Dynasty : focusing on Yŏ-dan in Hansungbu : 한성부(漢城府)의 여단(厲壇)을 중심으로 최진아 p. 509-540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 = An implication of <Suwangjeseok-geori>, Hwanghae-do Jinogi-gut 홍태한 p. 541-566
단위학교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 safety education in unit schools and improvement measures : faculty and staff of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 세종시교육청 교직원을 중심으로 김창길 p. 567-596
대형화재 피난안전의 영향요인 실증분석 =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evacuation safety in large-scale fires 남철우, 채진 p. 597-618
위탁 어린이집 원장의 현실과 대안 모색 = Looking for the reality and alternatives of the director of the foster daycare center 박윤자 p. 619-641
웰에이징 연구경향과 과제 = Well-aging research trends and tasks 송현동, 김광환, 김문준, 박아르마 p. 643-662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의 배아 독성 및 항염 효능 평가 = Evaluation of embryo 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Rumex crispus L. root extract 박유진, 김보애 p. 663-685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 The principles, applications, limitations, and business efficiency of chat GPT 오상훈 p. 687-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