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읽기곤란 초등학생의 하위 유형별 이질성을 탐구하고 적용된 어휘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S시 읽기곤란 초등학생 중 2021년부터 2023년까지 S대학교와 S시의 교육협력사업 읽기지원 프로그램 「새라배움」에 참여한 학생 200명이다. 3년간 본 사업에 참여한 학교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5학년 학생 4,747명을 대상으로 보편적 진단검사를 실시하여 읽기에 어려움을 지닌 200명을 선별하였다. Tier 2 수준의 소그룹 읽기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하여 하위 유형별 이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휘 교수를 받은 85명을 대상으로 시간에 대한 중재 효과를 파악하고자 사전검사, 진전도 1~3차검사, 사후검사 총 5회의 어휘검사 점수를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진전도를 보이지 않아 Tier 3 수준의 개별 어휘 중재를 받은 학생과 Tier 2 수준의 소그룹 기반 어휘 중재를 받은 학생의 집단별 진전도 초기값 및 기울기를 Excel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각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점과 의의를 통해 읽기곤란 초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어휘 중재 방법과 모델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eterogeneity of subtyp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vocabulary interven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0 students from S city in Gyeonggi-do, who participated in the 'Saerabaeum'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a cooperative educational project between S University and S city from 2021 to 2023. A universal screening test was conducted on 4,747 students in grades 3-5 of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over three years, from which 200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were selected. Tier 2 level small group reading interventions were provided, and the heterogeneity of subtypes was identifi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In addition, to assess the effect of the vocabulary instruction over tim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was utilized based on the scores of five vocabulary tests including pre-tests, 1st through 3rd progress monitoring tests, and post-tests for 85 students who received vocabulary instruction. Finally, the baseline scores and slopes of progress for students who received individual vocabulary intervention at the Tier 3 level and those who received small group vocabulary intervention at the Tier 2 level were plotted using graphs functions in the Excel. The discussion and significance of each research result suggest effective vocabulary intervention methods and models for students struggling with read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읽기곤란 초등학생의 하위 유형별 어휘 중재 효과 = Effects of vocabulary intervention by subtyp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김동일, 송푸름, 전영선, 전성화, 조영희 p. 1-25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기반한 난독증 하위유형 탐색 = Classification of dyslexia subtypes based o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 an application of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김보배 p. 27-54
학교교육 기반 학습장애 및 위험군 학생을 위한 협력적 교육지원 방안 연구 = Research on school-based collaborative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조태곤, 권기홍, 김경일, 승예린, 이경미 p. 55-78
예비특수교사의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및 우선순위 분석 = Awareness and priority analysis of AI⋅digit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나경은, 허유성, 서유진 p. 79-101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위한 고찰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efficacy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entering adulthood : focusing on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the ‘freeman model’ : ‘Freeman 모델’의 개념과 함의를 중심으로 민수진 p. 10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