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불교와 뇌과학의 연관성 연구, 어디까지 왔나? | 권준수 | p. 17-22 | ||
뇌과학은 불교의 깨달음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이상헌 | p. 23-29 | ||
의식은 어디에나 있다 | 불교문화 | p. 30-35 | ||
명상은 뇌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윤희조 | p. 36-41 | ||
뇌과학 연구는 불교 수행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 문일수 | p. 42-48 | ||
안과 밖의 경계에 섰다면, 길 위에 몸을 맡겨보자 | 박정아 | p. 49-52 | ||
모든 번뇌 경(Sabbāsava sutta) : 『맛지마니까야』 제1권 중에서 | 불교문화 | p. 53-58 | ||
결정을 못하는 족쇄를 풀어내는 비결 : 『법구경』 속 출세간의 영웅 이야기 | 원빈 | p. 59-63 | ||
행복을 방해하는 세 가지 마음 작용 | 정상교 | p. 64-67 | ||
유가행파와 '유심(唯心)' 사상 | [저]: 얀 웨스터호프 ; 번역: 조연우, 권건우 | p. 73-77 | ||
우리 마음의 선한 늑대에게 먹이를 주는 법 [서평] | 신진욱 [평] | p. 79-82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