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메가시티 한국'은 가능한가? : 도시사회론의 관점에서 | 황진태 | p. 16-42 | ||
두 번의 메가시티 프로젝트 : 한 번은 비극(悲劇)으로, 다음번은 소극(笑劇)으로? | 양승훈 | p. 43-59 | ||
메가시티와 메가리전, 해외 담론의 시사점 | 김재훈 | p. 60-76 | ||
메가시티가 아니라 '자치의 강화'가 필요하다 | 하승수 | p. 77-93 | ||
이기적 주체들의 경쟁 게임과 저항의 감정적 체험 사이 : 비판의 문턱 찾기 | 서영표 | p. 94-115 | ||
세월호 참사 10주기, 재난 조사를 돌아본다 | 박상은 | p. 179-194 |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을 계기로 본 반인도범죄 처벌 | 구정은 | p. 195-214 | ||
김용균 털어내기 : 김용균 사망 사고와 중대재해처벌법 | 전주희 | p. 215-230 | ||
노동하는 여성의 삶은 기억되고 기록되어야 한다 | 노지승 | p. 231-246 | ||
서사의 그림 무늬들 : 서용선의 역사화, 그 '맞섬'의 돋을새김 | 김종길 | p. 261-268 | ||
창작의 당위, 추체험을 이끄는 예술의 역할 : 문화비축기지 기획전 <서용선 프로젝트: 암태도> | 최윤정 | p. 269-277 | ||
서용선의 질문하는 삶, 생각하는 그림 | 이슬비 | p. 278-285 | ||
'여성친화도시'를 명분으로 쫓겨나는 용주골의 여성들 | 나영 | p. 294-301 | ||
국가와 지역의 미래를 망치는 '표(票)퓰리즘' 정치 :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초반 관전평 | 이희환 | p. 302-310 | ||
사실을 기록하는 일 : 아다니아 쉬블리의 『사소한 일』과 다카야마 하네코의 『슈리의 말』 | 오길영 | p. 322-334 | ||
'바이든-날리면' 1심 판결이 남긴 의문 | 김서중 | p. 335-342 | ||
불안정노동을 생산하는 교차적인 억압에 대한 저항 [서평] | 조지훈 [평] | p. 352-359 | ||
다시, 지성의 비관 의지의 낙관 [서평] | 김미정 [평] | p. 360-368 | ||
야코비, 계몽의 동요 또는 동요로서의 계몽 [서평] | 정대훈 [평] | p. 369-379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