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보다 앞서야 할 것들에 대해
|
정소영
|
p. 44
|
|
|
|
문화유산 반출에 대한 단상
|
박영택
|
p. 46
|
|
|
|
ArtDrunk, 미술을 알아가는 가장 쉬운 방법 : Gary Yeh [인터뷰]
|
Gary Yeh [인터뷰이] ; 심지언 [취재]
|
p. 48-51
|
|
|
|
인천아트플랫폼 활성화 방안 토론회
|
[토론]: 안소연, 장관훈, 이민하, 박지선, 박신의, 김아영, 신일기 ; [정리]: 하도경 ; 사진: 박홍순
|
p. 52-53
|
|
|
|
탄탄한 조사·연구·비평 기반의 작가 프로모션 프로젝트
|
심지언
|
p. 54-55
|
|
|
|
아트 프리미엄 효과. 2, 아트, 브랜드에 프리미엄을 더하다
|
한여훈
|
p. 64-69
|
|
|
|
SNS로 달라진 아트월드, 혼재된 게이트 키퍼, 모든 사용자에게 액세스 하용?
|
하도경
|
p. 72-73
|
|
|
|
SNS가 그리는 달콤씁쓸한 아트월드
|
강재영
|
p. 84-85
|
|
|
|
도다누키 신이치로 [인터뷰]
|
[인터뷰이]: 도다누키 신이치로 ; 진행: 하도경
|
p. 88-89
|
|
|
|
예술 콘텐츠의 제작과 소비 경향 [좌담]
|
김민, 박지민, 박지연, 심지언, 이지현 [좌담] ; 심지언 [정리]
|
p. 90-99
|
|
|
|
하차연, Made in Korea
|
양지윤
|
p. 100-107
|
|
|
|
마주 본 몸 : 협업과 조영주 퍼포먼스의 신체성
|
이민주
|
p. 108-115
|
|
|
|
다중우주 속 다중적 자아, 리너스 반 데 벨데
|
이나연
|
p. 116-121
|
|
|
|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매만지며 : 최고은
|
노재민
|
p. 122-125
|
|
|
|
유령을 소환하는 목소리들
|
진휘연
|
p. 128-131
|
|
|
|
태도가 저항이 될 때
|
김동일
|
p. 134-137
|
|
|
|
요코 오노 :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되기에
|
전민지
|
p. 146-151
|
|
|
|
마주치는 어긋남 : 《오직 밤뿐인》
|
안민혜
|
p. 138-139
|
|
|
|
회화적 시차 적응 : 《Time Lapse : 어느 시간에 탑승하시겠습니까?》
|
추성아
|
p. 140-141
|
|
|
|
사이를 가로질러 본질을 찾아 나서는 여정 : 《박관택 : Back and Forth》
|
노재민
|
p. 142-143
|
|
|
|
과거가 될 현실을 통해 미래를 바라보는 법 : 《무솔리니 팟캐스트》
|
정소영
|
p. 144-14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