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에 규정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가 실질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할 및 운영방식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사회복지종사자 중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고 이들이 기대하는 권익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법률에 규정된 내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종사자들은 권익지원센터의 설치와 운영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사회복지종사자에 초점을 둔 옹호기관으로 독립적인 조사와 구제 및 실직적인 지원이 가능한 종합적인 상담 지원체계의 구축과 제도개선 활동을 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한편 권익지원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중앙센터와 지역센터의 역할 분리와 전문인력의 상주, 초기 사업 정착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지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기대하는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업무, 정책개선활동, 센터의 운영방식은 법률에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향후 보완이 필요하였다.

이에 권익지원센터의 역할과 운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인권침해 사건 조사 및 시정권고 기능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현장의 다양한 어려움에 대한 종합상담과 전문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을 위한 정책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권익을 넘어 인권으로의 확장을 위한 인권교육 지원과 활발한 홍보활동을 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과 권역별 권익지원센터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구체적 타자 관점을 통한 사회과 소수자교육의 성찰과 개선 =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social studies minority education through concrete others perspectives 박예진, 김봉석 p. 1-28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의 역할 및 운영 탐색 = Exploring the roles and operations of the support center for social welfare workers' rights and interests 김수정, 한은영 p. 29-54

어린이 인권도서를 활용한 교수자의 인권교육 경험의 의미 탐구 = Exploring the meaning of an instructor's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using children's human rights books 유수복 p. 55-80

학교자치가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chool autonom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 case of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outh Korea : 국공립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강호수, 박희진, 이동엽 p. 81-101

초등 사회교과서 법영역 탐구 경향 분석 = Analysis of inquiry tendency in law-related cont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 utilizing Romey's quantitative textbook analysis method : Romey의 정량적 교과서 분석법을 활용하여 김세훈 p. 103-126

법교육에서 예술의 역할과 과제 = The role and challenges of the arts in law-related education :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에의 시론적 고찰 박지윤 p. 127-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