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AI를 활용한 탐구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일상생활과 사회 속 과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과학 교과와 AI를 융합한 과학-AI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융합 수업을 진행하였다. 과학-AI 융합 수업은 감쇠 진자의 운동을 정성적으로 이해하고 블록코딩 플랫폼 KNIME을 사용하여 진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AI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참여동기, 배움과 변화, 어려움과 수업의 한계를 기술하였다. 학생들은 AI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트렌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수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배웠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주변 현상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융합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여전히 익숙하지 않은 플랫폼, AI 원리 이해를 어려움으로 인식하였고 따라해야만 하는 수업 방식의 한계와 수업 내용상의 한계를 인식하였다. 융합 수업의 경험은 실생활의 문제를 AI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학습 동기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느낀 어려움과 한계는 더 심화되고 확장된 주제를 학습하고 싶은 동기로 이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AI 융합 수업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AI 융합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할 때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과학중점학교 학생의 블록코딩 플랫폼 KNIME을 활용한 과학-AI 융합 수업 경험 분석 = An analysis of students' experiences using the block coding platform KNIME in a science-AI convergence class at a science core high school 홍의정, 신은혜, 장진섭, 채승철 p. 141-153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탐구 학습 지향과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의 관계 비교 =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s toward scientific inquiry learning and coping strategies for anomalous situations in elementary students :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윤지영, 강훈식 p. 155-166

과학 관련 직업과 진로 교육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s and career education 송나윤, 박선영, 노태희 p. 167-178

소집단 모형구성 수업 진행에서 나타난 초임 과학 교사의 인식론적 프레이밍 변화 탐색 = Changes in a no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framing for facilitating small-group modeling : from "filling in blanks" to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reasoning" : ‘빈칸 채우기’에서 ‘사회적 추론 구성’으로 이은주, 김희백, 심수연 p. 179-194

성취평가제로 인한 교수 실행 변화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 Explor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changes due to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 focusing on the impact of no longer indicating course ranking : 내신 석차등급 미반영 전후를 중심으로 전소현, 이현주 p. 195-207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Ⅱ와 공학일반에 제시된 생명공학기술 관련 학습 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y in Life Science Ⅱ and general engineering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한화정, 심규철 p. 209-217

과학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교육과정 적용에의 고민과 어려움 = Concern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Integrated Science'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을 중심으로 이봉우, 박재용, 손정우, 이기영, 최원호, 심규철 p. 219-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