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본 연구는 챗봇 관계유형과 패션상품 추천유형에 따라 챗봇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300명의 20~40대를 대상으로 챗봇 관계유형과 패션상품 추천유형에 따른 챗봇 서비스를 경험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2X2 ANOVA 분석과 부트스트랩(Bootstrap)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챗봇 관계유형과 패션상품 추천유형에 따른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 사용자 저항감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챗봇 지속 사용 의도에도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챗봇 관계유형이 비서일 경우, 제품보다 스타일을 추천받을 때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이 높게 나타났고 친구일 경우, 스타일이나 제품을 추천받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자 저항감의 경우 챗봇 비서유형의 패션상품 추천유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구 유형의 챗봇이 스타일보다 제품을 추천할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챗봇 비서유형이 제품보다 스타일을 추천할 때 챗봇 지속 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쇼핑 상황에 따라 챗봇 유형과 제품 추천유형이 적절하게 개발된다면, 소비자들의 챗봇 사용률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에서는 개인이 선호하는 챗봇 서비스를 통한 쇼핑경험으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Background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chatbot relationship type and fashion product recommendation type on chatbot continuous usage intention.

Methods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after 300 individuals in their 20s to 40s experienced chatbot services, utilizing a 2 (Chatbot relationship type: Friend vs. Assistant) x 2 (Recommendation type: Product vs. Style) between-subjects desig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for ANOVA and Bootstrapping analysis.

Result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as well as user resistance, based on chatbot relationship types and fashion product recommendation types. Additionally,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for chatbot continuous usage intention.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when the chatbot relationship type was secretary: higher when receiving style recommendations. However, when the chatbot relationship type was frie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between style and product recommendations. Thirdly, regarding user resist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mmended fashion product types between chatbot perceived as secretary. However, when chatbot was perceived as friend, they showed higher user resistance when recommending products over style. Fourth, it was observed that chatbot continuous usage intention is higher when chatbot perceived as secretary recommend styles over products.

Conclusion If chatbot types and recommendation strategies are optimally tailored to the online shopping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consumer usage and satisfaction will increase. Additionally, by offering shopping experiences through chatbot services tailored to individual preferences, businesses may utilize this approach as an effective tool to elicit positive feedback from consum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 An examination of determinants to purchase intention of upcycling fashion product : towards a framework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eco-friendly value : 환경친화적 가치와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송지안 p. 7-20

Redesigning UI/UX of digital kiosk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 focusing on digital kiosks in movie theaters Park Shinyoung, Kwon Doin, Dong Eunyoung, Choi Haneul, Hyun-Kyung Lee p. 21-30

기술의 S곡선과 불연속적 혁신 단계에서의 디자인의 역할 = The role of design in the S-curve of technology and discontinuous innovation : focusing on examples of communication methods : 통신 수단 사례 중심으로 심유리 p. 31-40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원 및 도시숲 이용 트렌드분석 및 융합디자인 탄소중립 기술 적용요소 제안 = Proposal for the application of carbon-neutral technology in convergence design based on big data analysis of park and urban forest usage trends 이우주, 김선철 p. 41-54

지속 가능을 위한 지스타로우의 데님 아트 프로젝트 유형과 가치 = Types and values of G-star raw's denim art project for sustainability 김선영 p. 55-66

드로잉과 스토리텔링 중심의 온라인 참여형 챌린지 연구 = A study of online participatory challenges centered around drawing and storytelling : focused on Inktober 2023 Challenge submissions : 잉크토버 2023 챌린지 참여 작품을 중심으로 노정연 p. 67-76

컬러조닝(Color Zoning)을 통한 숨겨진 보석의 활성화 방안 연구 = Research on enhancing hidden gems through color zoning 문금리, 김영옥 p. 77-86

20대가 인식하는 한국 가상 인간 인플루언서의 성격 연구 = Studying the personality of Korean virtual human influencers as perceived by 20-somethings : focusing on Lucy, Han Yua, and Rozy : 루시, 한유아, 로지를 중심으로 안지선 p. 87-100

중국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 현황 분석 = Analysis of sustainable design research in China 왕메이원, 장주영 p. 101-108

인공지능 챗봇 관계유형과 패션상품 추천유형이 챗봇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relationship type and fashion product recommendation type on chatbot continuous usage intention : focusing on perceived usefulness, enjoyment and user resistance :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 사용자 저항감을 중심으로 김정미, 김세은 p. 109-124

인공지능을 활용한 독일 DeepWrite 법률 학습 플랫폼의 컨셉 도출 = Conceptualis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learning platform DeepWrite in Germany : focused on the user interfac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심으로 강유진 p. 125-136

브랜드 이모티콘의 소비자 만족 요인 연구 = A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of brand emoticons 이서진 p. 137-148

Direct Ink Writing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중국 젠수이 자도(建水紫陶) 제품디자인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Jianshui pottery product design using direct ink writing ceramic 3D printing technology 호경, 손지우, 고보형 p. 149-158

AR 박물관 앱의 구성요소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mponents of AR museum app on user satisfaction : based on the Shanghai AR Museum app : 상하이 AR 박물관 앱을 중심으로 대량, 장청건 p. 159-170

중화민국시대 월분패(月份牌) 속 여성상의 도상학적 분석 = The image of woman in Wolbunpae in the Chinese Republican period under the perspective of iconology : based on the hair style and costume analysis : 헤어 스타일과 의상분석을 중심으로 신탁홍, 조현신 p. 171-182

혁신 기술의 적용과 지속 가능한 스마트관광 구현 전략 =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ies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smart tourism : a case study analysis in Singapore, Dubai, and Amsterdam : 싱가포르, 두바이, 암스테르담의 스마트관광 사례 분석 서유강 p. 181-190

인간의 멀티 페르소나를 투영한 금속 장신구 표현 = Projection of multi persona through metal jewelry 김문정 p. 19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