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통화정책의 유효성이 불확실성에 의존하는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본 연구는 통화정책의 파급효과가 불확실성 국면에 의존하는지 분석했다. 분석기간은 1999년 5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이며, 통화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Jordà의 국소투영법(local projection model)을 이용했다. 실증분석결과 확장적 통화정책을 시행하면 주택매매가격 및 전세가격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이러한 파급효과의 크기는 주택 유형별로 이질적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확실성 국면에 따른 통화정책의 비대칭성을 분석한 결과 통화정책은 불확실성이 높은 국면보다는 낮은 국면에서 주택시장에 파급되는 유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건성 분석을 시행했으며, 주요결과는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확실성이 높은 국면에서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다른 정책 수단을 추가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ies depends on uncertainty. This study analyzes if transmission effects of them depend on the level of uncertainty. The analysis covers the period from May 1999 to December 2022 and employs the local projection model of Jordà to measure the transmission effect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expansionary monetary policies could increase housing sales and jeonse prices and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effects shows heterogeneity by different housing types. The analysis for the asymmetry of the policies with respect to uncertainty reveals that they may have higher effectiveness in affecting the housing market during periods of lower uncertainty. Robustness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and the main findings were rob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ies during periods of high uncertain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ditional measure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