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공공 갈등 관리는 행정기술적인 접근을 넘어서 인문사회학적인 통찰에 기반하여 관련자들의 지속적이고 원활한 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 갈등 관리 시스템으로서 소셜 머신의 설계를 논의하였다.
구성주의적 정보 철학 입장에서 정보 행위자로서의 인간은 생존을 위하여 다음에 해야 할 행위의 의사결정을 위하여 주어진 세상의 모델로서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한다. 주어진 세상에 대한 모델이 다른 이러한 정보 행위자들은 모여 있는 사회는 희소한 자원을 두고 갈등할 수밖에 없다. 갈등의 완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통이 필수적이고 소통의 매체가 되는 언어는 페렐만의 신수사학적 공감을 지향하는 것이다. 설득을 위한 수사학의 언어는 감정적 파토스, 윤리적 에토스, 그리고 논리적 로고스의 균형적인 정보의 소통이 중요하다.
소셜 머신은 균형잡힌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 구성주의적 정보 철학의 통찰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머신은 소통을 통해서 인간과 함께 하는 공존의 기계로서 포스트휴먼적 사회속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Public conflict management discusses the design of social machines as a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the continuous and smooth communication of those involved, based on humanities and sociological insights beyond administrative technology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t information philosophy, humans, as information actors, build information as a model for a given world to make decisions regarding what to do next for survival and predict it based on this. A society in which information actors with different models for a given world are gathered faces conflicts over scarce resources. Continuous communication is essential for alleviating conflict, and the language that becomes the medium of communication aims at Ferrellmanʼs neosocial empathy. As a language of rhetoric for persuasion, information must be communicated in a balanced manner using emotional pathos, ethical ethos, and logical logos.
Social machines can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constructivist information philosophy for balanced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These social machine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the post-human society as machines that coexist with humans through communicatio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에 따른 미술교육의 재정향화 = Emergence of generative AI and the reorientation of art education | 박휴용 | p. 9-51 | ||
중국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AI 교수효능감 분석 = Case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AI education and AI teaching efficacy at a Chinese university | 여열, 이용직 | p. 53-81 | ||
알고리즘적 무의식과 지각의 전환 = Algorithmic unconscious and the shift in perception : focusing on the subjectivity issue in "Automated Media, 2019" : 『미디어 알고리즘의 욕망』의 주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 김선 | p. 85-111 | ||
Can AI become an expert? | Hyeongyun Kim | p. 113-136 | ||
공공 갈등 관리를 위한 소셜 머신 = Social machine for public conflict management : from perspective of constructive philosophy of information : 구성주의적 정보 철학 관점에서 | 박충식 | p. 137-165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