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탑골공원, 손기정체육공원, 앙카라공원, 파리공원, 중계근린공원, 노해근공원, 6개 공원을 대상으로 노인 이용자의 행태를 관찰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노인친화공원 조성시 고려 사항을 파악하였다. 행태관찰 결과 공통적으로 운동 목적의 걷기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공원에서 노인끼리의 소통이 많은 편이 아니며, 공원에 다양한 연령층 있으면 노인 연령층과 공간이 나뉜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으로 관찰되었다. 성별에 따른 행태의 차이도 나타난다. 남성노인의 경우 장기와 바둑의 유희 활동을 주로 즐겼으며 여성 노인은 육아와 관련된 아동 동반 이용의 행태가 나타났다.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노인들의 주 공원 방문 목적이 운동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들은 공원 이용 시 그늘과 편안한 벤치 등의 휴게시설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조용하고 안전한 분위기의 공원 선호하였으며 그늘을 제공하는 수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남성 노인은 타 연령층과의 교류를 불편하게 인식했지만, 여성 노인은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연구의 결과 바람직한 노인친화공원은 노인의 운동을 위한 공간과 휴식시설, 노인 전용 시설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공원에 자연이 풍부하고 그늘이 많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성 노인과 남성노인의 이용행태의 차이를 고려하고, 조용한 공간과 운동 및 유의 공간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activities of seniors in 6 parks in Seoul and interviewed them to apprehend considerations for senior-friendly park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ctivity of seniors in the park is walking as exercise. Through field observa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seniors in public space are not willing to communicate frequently with strangers and there is spatial segregation according to different age user groups. There is also an obvious difference in the activity pattern by sex. The male seniors preferred chess and go as leisure activities in parks. The female seniors often used the park with their grandchildren. Through the interview, it is verified that the main purpose for seniors visiting parks is exercise. Seniors preferred the quiet and safe atmosphere of the park and thought trees with shade were the most crucial factor for the senior’s park use. While the male seniors felt uncomfortable talking with strangers, the female seniors wanted more social engagement with new users. As the result of the field survey and the interview, the research suggests more exercise facilities for the senior group and abundant greenery with shade in the senior-friendly park. A sufficient resting place and gathering facility for the seniors are essential for the senior-friendly park. In making a senior-friendly park, the difference in activiti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should be considered. The separation of quiet space and active space is also required.*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