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다른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집안 지역 고구려 와당 명문 판독 연구를 반영하여 필자의 과거 연구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을 하였다. 다만 최근 연구에서의 지적과 달리 禹山下 3319호에서 출토된 ‘十谷民造’ 와당은 梨樹園子南 유적에서 출토된 와당과 동일한 와당이 분명하다고 생각되며, ‘千谷’이 아니라 ‘十谷’으로 판독하는 게 옳다.

‘10곡’은 와당을 만들어 공급한 10개의 고을을 의미한다. 와당과 기와 중에는 물건의 제작을 지시하거나 의뢰한 주체의 이름이 새겨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서대묘에서 출토된 戊子年 와당과 己丑年 와당, 그리고 千秋塚에서 출토된 ‘趙將軍’명 기와와 ‘胡將軍’명 기와가 여기에 해당한다. 고구려는 왕실의 권위를 과시하고 재정적 부담을 분산하기 위하여 왕릉의 조영과 수리에 지방 세력을 동원하고 역할을 분배하였다고 여겨진다.

일반 기와에 남겨진 명문은 와당 명문에 비해 서체가 자유분방하고, 정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기와 명문의 다수가 와당과 달리 남들에게 보여 주기 위한 명문이 아니라 제작자들의 작업을 위한 기능적인 목적에서 새겨진 것이기 때문이다. 기와에 새겨진 글자들은 수준의 편차가 크며, 정상적인 글자가 아닌 경우도 많다. 이는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졌던 고구려인들의 문자 사용의 실상을 보여 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 후기 백담사(百潭寺)의 사적(史蹟)과 위상 = History and status of Baekdam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경순 p. 5-44

조선후기 평강 보월사의 중창과 화월당 성눌의 활동 =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Bowolsa Temple in Pyeonggang and the activities of Hwawol Seongn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종수 p. 45-77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내력과 양식적 특징 = History and stylistic features of Baekdamsa Templ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손영문 p. 79-120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복장 기록 분석 = Analysis of Bokjang records preserved inside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t Baekdamsa Temple in Inje 유근자 p. 121-158

백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한글 발원문의 해석 = A study of two Hangul prayers i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costumes 김성주 p. 159-193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복장 저고리와 불복장복식 현황 = A study on the Jeogori of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n Baekdamsa Temple and Buddhist enshrinement costumes the present condition 강선정 p. 195-251

집안 출토 고구려 기와 문자 검토 = A review of the letters of Goguryeo roof tiles excavated in Jian 기경량 p. 253-307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간이생명보험 제도 이식 과정과 특징 =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 of the postal life insurance system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nd 1920s 구병준 p. 309-351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일본 OECF 차관의 도입 = Construction of Seoul Subway Line No.1 and introduction of Japan's OECF loan 박광명 p. 353-384

南京國民政府시기 北平市 公安局의 성립과 권한 조정 = The establishment and authority adjustment of Beiping Public Security Bureau in the era of the Nanjing Nationalist Government 김택경 p. 385-428

구조와 행위주체 = American slavery : foods and its social stratum and ecology : 노예제도와 식량배급. 2 양홍석 p. 429-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