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중장년 장애인의 직무적합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관계에서 장애수용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직무적합도-장애수용-직무만족의 관계가 성별 집단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SEM)을 활용하였다. 또한, 성별 집단에 따라 경로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적합도는 장애수용과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장애수용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적합도와 직무만족의 사이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의 집단별 경로계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또는 시사점: 본 연구는 중장년 장애인의 중요한 직업역량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불안정한 고용상태의 특성을 가진 중장년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무적합도와 장애수용 요인을 고려한 직무프로그램 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인 표준사업장 관련 언론 기사 트렌드 및 의미망 분석 연구 = A trend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media coverage on standard workpla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2008∼2022 : 2008∼2022 신현욱 p. [1-2], 5-30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일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the moderating effect of inclusion in the workplace : 일터 내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지현, 이소현 p. [1-2], 31-60

성인 발달장애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the happines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 당사자와 부모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종빈, 김영빈, 김용득 p. [1-2], 61-90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in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and verifying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 영향요인 탐색 및 삶의 만족 차이 검증 김한솔, 김은지 p. [1-2], 91-115

서비스업 장애인 바리스타의 근로행동에 대한 고객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 Analysis of subejctive customer perception types on the work behavior of disabled barista in service industry : Q-methodological approach : Q-방법론적 접근 김효실, 이해태, 차석빈 p. [1-2], 117-137

중증장애인생산품생산시설 지정·재지정 심사기준 개선 연구 = A study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and recertification criteria for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서원선, 이수용, 이태현 p. [1-2], 139-159

특수교육대상자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 개선을 위한 방향성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lan of learning-centered field trai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나경은, 이승학, 조일석 p. [1-2], 161-180

중장년 장애인의 직무적합도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김현주, 김동일 p. [1-2], 181-208

장애수용 정도가 취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on employment perception : a multi-mediating effect analysis of awareness of employment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trust in disability policies : 장애인 고용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정책에 대한 신뢰도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김두래, 김정호, 강상훈 p. [1-2], 209-239

발달장애인을 지원하는 적응지도형 근로지원인의 직무 도출 = Job role identification of adaptive vocational support personnel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백영은, 이미지 p. [1-2], 241-266

중고령 장애인 관련 국내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o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 using sema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활용 이은실, 조혜정 p. [1-2], 267-290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고령 발달장애 근로자 지원에 대한 인식과 딜레마 = Staff perceptions and dilemmas of supporting ageing employe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heltered workshops 김현승 p. [1-2], 291-316

근로지원인의 업무지원 경험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the workplace personal assistants : focusing on work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달장애 근로인을 위한 적응지도형을 중심으로 박병섭, 김경미 p. [1-2], 317-344

장애인일자리사업 비용편익분석 = Cost-benefit analysis of job cre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economic feasibility assessment by project type : 사업 유형별 경제적 타당성 평가 정지웅, 양숙미 p. [1-2], 345-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