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공지능을 적용한 미래 기술이 삶의 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공간전시 분야에서도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여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지능과 디자이너의 창의적 사고를 상호작용적으로 결합시켜 구성한 전시가 관람객의 연상성 측면에서의 공간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AI를 활용한 전시 사례를 분석하여 AI 기술을 전시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그특징을 서술하고, 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생성형 AI를 활용한 10단계 경험 설계를 통해 작품(의자)을 만드는 과정을 영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작품 실물과 함께 특정 벽면에 상영한 후, 관람객에게 전시를 체험하게 하였다. 셋째, 드로잉을 통한 생각 연상 방법을 진행하여 문서에 기록하게 하였고, 연상성의 세부 요소인 장면표현(Scene)과 연상표현(Imagine) 관점에서의 경험 후기를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장면표현 관점에서 AI 전시의 연상성은 창의성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동시에 AI 기술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고, 기계적으로 스토리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다소 지루함을 느끼게 하는 부정적 경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상표현 관점에서 AI가 스스로 생성하는 독특한 작품 연상과정은 관람객들이 과거를 회상하고 깊은 감정적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AI 전시의 공간 경험은 관람객에게 AI와의 협업을 통해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을 생동감 있게 보여주어 관람객이 전시 내용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고, 작품의 세부 사항을 더 쉽게 포착함으로써 전시회에 더욱 적극적으로 몰입하게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는 인간과 다른 AI에 대한 이질감을 넘어 확장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여운을 남기며, 작가와 관람객 간 깊은 감정적 공감을 유도하여 무한한 상상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단색화 전통의 계승과 확장 = Succession and expansion of Korean Dansaekhwa : the encounter between Mark Rothko and Ha, Jonghyun, and <Sublimation of Light> : 마크 로스코와 하종현의 마주침, 그리고 <빛의 숭고> 강묘수 p. 1-17

테셀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패션산업디자인 교육모델 = A study on fashion merchandise design education model using tessellation technique 강혜승 p. 19-31

화예디자인 비즈니스를 위한 콘텐츠 접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tent access for the floral art business : focused on digital content :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김나윤, 김흥렬 p. 33-47

우려물의 미학 = Aesthetics of matters of concern : focused on works of art in new climatic regime : 신기후체제의 예술 작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영 p. 49-60

패션 업계의 가상 아바타 워크 프로세스 모형 = Virtual avatar work process in fashion industry 김진우, 김현주 p. 61-75

가변 폰트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결합이 브랜딩 구축에 미치는 영향 = Research on the impact of combining variable fonts with brand identity on building branding 마청량, 정재완 p. 77-88

예술작품의 아우라에 대한 동시대적 고찰 = Contemporary consideration of the aura of art works : focusing on originality and uniqueness : 원본성과 유일성을 중심으로 박정호, 김현석 p. 89-102

지역 브랜드의 서체 개발 요건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A study of consumer responses to Korean local typeface development requirements : 국내 지역 서체를 중심으로 배영미, 김성계 p. 103-121

생성형 AI 기반 부조 창작 방법에 대한 타당성 연구 = A feasibility study on relief creation methods based on generative AI 봉욱호, 정정호 p. 123-140

한글꼴 색상과 미각의 교차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hangeul colour and taste 서혜란, 김성계 p. 141-152

동양과 서양의 공유숙박 서비스 이용 체험의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difference of shared accommodation service use experi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users 손우의, 조광수 p. 153-166

디지털 트윈 기반 문화재 건축물 3D 모델링 및 UAV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UAV archives for cultural heritage architecture 3D modeling based on digital twins 손혜연, 박호순 p. 167-187

3D 모델링 시스템을 활용한 Tailored 재킷 패턴 연구 = Tailored jacket pattern study using 3D clothing system 신지아 p. 189-209

Schiaparelli의 디자인 분석 및 현대적 재해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Schiaparelli's design analysis and modern reinterpretation : focused on surrealist objects : 초현실주의 오브제를 중심으로 신지안 p. 211-225

생성형 AI 기반 전시디자인에 대한 공간 경험 분석 = Analysis of spatial experience in exhibition design utilizing generative AI : focused on visitors’ evocation : 관람객의 연상성을 중심으로 양류, 김유빈, 장광집 p. 227-241

중등한문과목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inforgraphic design for improving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여주은, 조성환 p. 243-260

메모 악텐의 파도 작품에 나타난 숭고 해석 = An interpretation of the sublime in the works of Memo Akten : with a focus on heterology of Lyotard : 리오타르 숭고론의 이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오혜은 p. 261-277

목적 기반 로봇의 모듈러 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application of modular design for PBR(Purpose Built Robot) 유은선, 박기철, 나건 p. 279-293

폐어망을 활용한 리사이클 섬유제품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recycled textile products using ghost net 이예슬, 이윤경, 이태구 p. 295-312

집합주택 내 개인 및 공유 공간 규모에 대한 거주자 인식 = Perceptions of private and shared area sizes in multiple dwelling units 이주회, 박태욱 p. 313-330

농촌지역 ‘생성 AI 예술 테마마을’ 조성에서의 기능 측면에서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reating ‘generative AI arts theme village’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Sinchangjin area : 신창진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장경기 p. 331-352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장신구 연구 = A study on jewelry using discarded plastic 조성호 p. 353-367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조윤수 p. 369-389

개념사진의 기호학적 시각 은유를 통한 현대 이슈 탐구 = Exploring contemporary issues through semiotic visual metaphors of conceptual photography 청지아홍, 박성연 p. 391-402

전통시장 평가 요소 비교 연구 = Comparison study of traditional market evaluation factors : focusing on serious and casual groups : 시리어스 집단과 캐주얼 집단을 중심으로 초금지, 조광수 p. 403-421

교통약자를 위한 자율주행 DRT 셔틀 사용자 경험(UX) 분석 체계 연구 = A study of autonomous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shuttle user experience(UX) analysis system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최규한 p. 423-434

디자인 융복합교육 기반 PJBL을 활용한 디자인 강의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case of design class using PJBL based on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 focused on the ‘Digital Media Graphics’ class : ‘디지털미디어그래픽스’ 강의를 중심으로 최송희, 최원재 p. 435-451

도시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조식 서비스디자인 연구 = A study on breakfast service design based on urban professionals’ lifestyle : a focus on Shanghai area : 상하이지역을 중심으로 풍리아, 김흥렬 p. 453-473

新 가치 창출 디지털 이노베이션 패션 플랫폼 모델 제안 = Proposal of fashion platform for new value creation digital innovation fashion companies.. 1 하지태, 김현주 p. 475-487

메타버스 기반 텍스타일 디자인에 특화된 3D 렌더링 적용 연구 = Research on specialized 3D rendering application for textile design in the metaverse : focused on T4U engine : T4U(T-Shirts for You) 엔진을 중심으로 한지숙, 김보민, 강화영 p. 489-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