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5년 이후 중국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영화들에선 민족적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민족화 경향은 새로운 현상이 아닌, 1950년대 중후반 상하이 애니메이션 영화 스튜디오(上海美術電影製片廠)와 관련된 역사적 전통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애니메이션 학파의 민족적 재현 방식에 대한 추구는 1950년대 국제정세의 복잡화, 사회체제의 변혁, 생산제도의 변화, 문화예술 사조의 유산과 추진에 의한 것이므로, 창작 집단이 당시 사회 분위기와 개인의 예술 추구에 부합하는 전략이었다. 그들은 다양한 민족의 문화적 유산을 기반으로 중국의 민족적 애니메이션을 창조함으로써 새로운 중화민족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이 이미지는 주로 다원일체로서의 중화민족과 계급혁명의 구성원으로서의 중국 국민을 강조한 것이었다. 새로운 민족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중국 애니메이터들은 다양한 실험을 했는데, 이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그들의 배경화법 공간의 표현 방식이다. 민족 건축물, 중국 전통 회화법, 카메라 워크 등을 통해 그들은 다양한 민족의 공간을 배경화법 공간으로 이용하여 다원일체로서의 중화민족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애니메이션 편집 기술은 위계체계의 간극과 모순을 강조했고, 사운드 방면에서는 경극, 곤극, 광둥 오페라 등 전통 예술 형식을 도입하여 민족적인 경향을 부각시켰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애니메이션 학파에 나타난 민족 의식 =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Chinese animation schools : focusing on scenographic space : 배경화법 공간을 중심으로 문단, 정태수 p. 5-36

일본 비디오 게임에서 가상과 실제를 경유하여 구현되는 (재일)한국인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Zainichi)Koreans implemented through virtual and real : focusing on Korean mafia in the 《Like a Dragon(Yakuza, 龍が如く)》 game series : ≪용과 같이(龍が如く)≫ 시리즈 내 한국인 폭력조직을 중심으로 이은우 p. 37-84

캐릭터 중심 리얼리티 예능 포맷의 창작 방법론으로서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의 활용 = Utilizing the concept of transidentity as a creative methodology for character-driven reality entertainment formats : centered on <Seoul Check-in> : <서울 체크인>을 중심으로 이종현 p. 85-113

엘리아 술레이만 감독의 영화에서 드러나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역사 =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nd history revealed in Elia Sulaiman's film : focusing on <Divine Intervention>, <The Time That Remains>, and <It Must Be Heaven> : <신의 간섭>, <팔레스타인>, <여기가 천국>을 중심으로 임소연 p. 115-148

‘KBS 시사기획 창’ <GPS와 리어커>(2022)의 서사 구성 방식에 관한 분석 = Analysis on the narrative composition method of GPS and Rear Car(2022) : based on the structural framework of narrative research : 서사 연구의 구조적 틀을 바탕으로 채종윤, 함충범 p. 149-174

이타미 주조 영화의 ‘촉각적 시각성(Tactile Visuality)’ 확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actile visuality' of Juzo Itami's films : focusing on the movie <Tampopo> (1985) : 영화 <담뽀뽀(タンポポ)>(1985)를 중심으로 한루 p. 175-205

(The) convergent aesthetics of <Arcane: League of Legends> =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의 융합 미학 Park, Ji Yoon p. 207-247

Embodied intermediality = 체현적 상호매체성 : 이론적 고찰과 <뉴욕의 모든 베르미어들>(1990) 분석 : a theoretical investigation with an analysis of <All the Vermeers in New York> Park, Sun p. 249-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