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육군병사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해 Adler이론에 근거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김창대 외(2011)의 개발모형에 기초하여, 기획 및 목표 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 연구, 프로그램 실시 및 검증의 단계를 거쳤으며 최종적으로 회기당 120분,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효과성 검증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총 59명의 육군병사들로서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30명으로 배치하였고, 실험집단은 14명과 15명의 두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추후(4주 후) 검사를 실시하고, 이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통제 두 집단 간과 사전·사후·추후 세 시기 간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프로그램은 진로적응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향상, 진로미결정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모든 변인에 대해 사전-사후, 사전-추후 검사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추후는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통제집단은 시기에 따른 검사점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육군병사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Adler이론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dler’s theor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army soldiers. The program development was based on the model porposed by Kim et al. (2011). The process went through of 4 stages: planning and goal establishment, program composition, preliminary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The final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The study involved 59 army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9 people and a control group of 30 peop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14 people and the other with 15 peopl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conducted 4 weeks later)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using scales for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sample t-tes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s ANOVA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three time periods before(pre-), after(post-), and follow-up,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reducing career indecis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aired-sample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r all variables in the ‘pre-post’ and ‘pre-follow up’ mean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s between ’post-follow up’.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across different time period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dler’s theory for improv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army soldiers were discussed.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