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무의식속에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뉴로 마케팅의 일환으로 fMRI기법을 통해 연구된 학술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뉴로 마케팅 이란 뉴런과 마케팅의 합성어로 소비자의 행동은 물로 보이지 않는 심리를 이해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는 무의식의 세계가 존재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2000년~2023년까지 사회과학 등재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토픽모델링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토픽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첫 번째 토픽은 fMRI의 의미와 윤리적 고찰에 대한 연구, 두 번째 토픽은 fMRI와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 세 번째 토픽은 유머와 광고의 뇌 네트워크 반응조사 연구, 마지막 토픽은 정서와 심리, 그리고 행동 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직까지 뉴로 마케팅이 소비자의 모든 생각을 대변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무의식의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그 효과성과 실효성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검증되었으며, 학술적인 측면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fMRI연구를 준비하는 연구자들 및 학계에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토픽모델링을 통한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fMRI) 사회과학연구 동향 분석(2000~2023년) =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ocial science research trends through topic modeling (2000-2023) 오민정 p. 1-7

Unveil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lazy farmer' through paradox in branding Chu, Kyounghee, Song, Hye Eun, Kim, Ji Yoon p. 9-17

기업성과, 아웃소싱, 고용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performance, outsourcing, and employment 이윤숙, 이성희 p. 19-27

경험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and brand loyalty : the mediating role of campaign satisfaction : 국내 식음료 브랜드의 오프라인 광고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나, 이성윤, 박설우 p. 29-35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비모수 부트스트랩 기법과 모수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한 간접효과 유의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using non-parametric bootstrap and parametric bootstrap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우종필 p. 37-43

먹방을 활용한 자기통제 = Mukbang as a means of self-control for diet : exploring satiation through vicarious consumption as an underlying mechanism : 상상섭취와 감각포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소현 p. 47-55

패션·의류 신제품 개발에서 기능 부서 간 협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 Study on the impact of cross functional integr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in fashion·apparel industry 방효민, 심동녘 p. 57-64

온라인 광고의 채도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saturation of an online advertisement on consumer's attitude : the mediating role of relaxation : 편안함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은 p. 65-71

To view or not to view, that is the question : understanding movie titles' comprehensibility and need for closure Kim, Ji Yoon, Chu, Kyounghee p. 73-81

사회관계망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 시대의 레스토랑 선택속성 연구 = A study of restaurant choice factors in the digital ag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beef restaurants : 소고기 음식점을 중심으로 손무웅, 한상린 p. 83-92

문화예술 공연장르 재관람 의도의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f determinants for re-attendance inten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genr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hold income : 가구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Liu, Si-Yu, 윤호정, 구희순 p. 9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