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전통과 추상의 경계를 넘어 : 김진규 <무한한 확장> | 글: 조민주 | p. 24-25 | ||
위태로운 균형과 본능적 정제의 조우 : 김무열, 김자영 <Refiguring> | 글: 한라인 | p. 26-27 | ||
흑자(黑磁)와 은기(銀器)의 두 장인 : 김시영, 이상협 <검고 뜨거운 차고 빛나는> | 글: 정영목 ; 정리: 월간 도예 편집부 | p. 28-31 | ||
진정한 자유를 얻기 위한 사물의 진동 : <애도(哀悼) : 공예적이거나 혹은 미술적이거나> | 글: 육상수 | p. 32-35 | ||
도자, 새로운 지형으로 : <길 위에 도자> | 글: 조은영 | p. 36-41 | ||
쓸모를 묻지 않겠다는 어떤 공예적 위로들 : <당신의 쓸모를 굳이 묻지 않겠습니다> | 글: 김성우 | p. 42-45 | ||
4년여 간의 전시 프로젝트 그 피날레 : 경기도자미술관 특별전 <자가처방_한국도예> | 글: 최리지 | p. 46-51 | ||
손과 몸에 체화된 기예로 한국미의 원형을 보살피다 : 영남요, 김정옥 사기장 [인터뷰] | [인터뷰이]: 김정옥 ; 취재·정리: 차윤하, 장민상 | p. 60-63 | ||
무결점의 한 점을 위한 생애 : 묵심도요, 이학천 사기장 [인터뷰] | [인터뷰이]: 이학천 ; 취재·정리: 차윤하, 장민상 | p. 64-67 | ||
꺼지지 않은 검은 빛 : 문경요, 천경희 도예가 [인터뷰] | [인터뷰이]: 천경희 ; 취재·정리: 차윤하, 장민상 | p. 68-71 | ||
재료 간 형질 변경으로 보여주는 도자예술의 새로운 정체 : 박종진 | 글: 홍지수 | p. 76-81 | ||
삶의 아이러니와 서사 : 오세린 | 글: 김기혜 | p. 82-85 | ||
청자 상감 용무늬 분합 | 글: 김대환 | p. 100-101 | ||
지금 미술 현장에서 가장 뜨거운 키워드, '여성' 그리고 '공예' | 글: 홍지수 | p. 110-111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