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여 파운데이션 컬러를 분류하고,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의 일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도권에 거주하는 20-50세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χ²검증, One-way ANOVA, t-test(검증), 그리고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파운데이션 컬러를 살펴본 결과 warm tone 유형으로 분류되는 봄과 가을 유형은 warm (yellow) 베이스, cool tone으로 분류되는 여름, 겨울 유형은 cool (pink) 베이스 컬러가, 봄과 여름 유형은 21호, 가을, 겨울 유형은 23호 밝기의 파운데이션 컬러가 나왔으며,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파운데이션 컬러를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측색평가와 시감평가를 각각 사용하여 진단한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일치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퍼스널 컬러 적용을 통해 PCS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가 가능하며, 여성들의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 측정 결과는 PCS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의 활용성을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들이 파운데이션 컬러 선택 시 퍼스널 컬러를 적용함으로써 자신에게 어울리는 피부색 표현과 컬러 매칭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뷰티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目的: 本研究的目的是通过应用个人色彩对粉底色进行分类,然后通过面部和肤色测量以及自我诊断来找出个人色彩系统(PCS)粉底色之间的底色和亮度的一致性基础颜色。方法: 收集了居住在首都地区的40名20-50岁女性的数据。采用SPSS WIN 27.0对收集到的材料进行频数和百分率,并进行χ²检验、单因素方差分析、t检验(验证)和描述性统计分析。结果: 根据个人颜色类型检查粉底色结果,暖色(黄色)底色作为春秋类型,被分类为暖色调类型,冷色(粉红色)底色作为夏季和冬季类型,被分类为冷色调,21号亮度作为春夏类型,23号亮度作为秋冬类型。结论: 本研究的结果可以被认为是通过个人色彩应用获得PCS粉底颜色分类的结果,以及女性自我诊断粉底颜色测量的结果增加了PCS粉底颜色分类的可用性。这些研究结果为女性选择粉底色时适合自己的肤色表现以及通过个人色彩进行色彩搭配奠定了理论基础,有望作为美容领域的基础数据。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엘더플라워(Sambucus nigra)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주름개선 및 항산화 효능 평가 = Anti-wrinkle and antioxidant effects of elderflower (Sambucus nigra) water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of cosmetics 정효정, 허서연, 이재화 p. 175-183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and relative chemicals in different extracts of licorice and fermenting licorice = 감초 및 발효감초의 다양한 추출물의 In Vitro 생물학적 활성 및 관련 화학물질 Zaijun Geng, Miaomiao Guo, Huirong Zhang, Guanjie Song, Xiaohui Zhang, Xiaoyan Gong, Li Li p. 185-196

Lipid profiling of oily skin in Chinese female aged 22-28 and 29-35 defined by the life rhythm theory of Huangdi Neijing = 《황제내경》의 생체리듬이론으로 정의된 22-28세 및 29-35세 중국 여성의 지성 피부에 대한 지질 프로파일링 Yuxin Song, Wenyu Ding, Jinyue Sun, Yongxian Bi, Jinjun Liu, Xiaoyan Dai, Congfen He, Huaming He, Yan Jia p. 197-209

파라페닐렌디아민으로 세포 독성 및 염증을 유도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Derma GenieTM-H002의 세포 보호 및 항염증 효과 = Cyt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erma Genie™-H002 against paraphenylenediamine-induced cytotoxicity and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박석묵, 임예진, 김희수, 신희재, 정석윤, 조수현, 김지선, 백세열, 안성관, 배승희 p. 211-224

저분자 펩타이드 복합물이 함유된 화장품의 항산화, 항 광노화 및 항 주름 효과 = Antioxidant, anti-photoag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cosmetic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peptide complexes 한도숙, 김기숙 p. 237-248

실크아미노산이 모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ilk amino acids on hair 유세은, 김옥연 p. 249-260

학과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피부미용 관련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career-decision-making via departmenta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studying skincare 김문주 p. 261-272

화장품 소비자의 차별화된 기호가치 소비 브랜드군에 대한 담론의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discourse reviews about differentiated semiotic value consumption brand groups in cosmetics consumers : focusing on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송만석, 조윤재, 임미주 p. 273-300

중국 샤오홍슈 앱 내 K-뷰티 콘텐츠가 국가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K-beauty content on national image and visit intentions within the Chinese XiaoHongShu app 김진희, 최호수 p. 301-311

달맞이꽃 추출물의 피부 진정에 관한 연구 = Skin-soothing effects of Oenothera biennis flower extract 임예지, 노경백, 유지영, 전수원, 조은애, 김홍배, 박덕훈, 정은선 p. 313-321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 연구 = A study on foundation color classific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s 최영미, 배승희 p. 323-334

알칸디올의 세포독성 및 항균력의 상관관계와 적용한 제형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Correlation of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lkandiols and their impact on stability in emulsions 김보라 p. 335-343

여대생의 주관적 피부 상태와 뷰티테라피 선호도 = Subjective skin condition and beauty therapy prefer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전해정 p. 345-355

성인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두피 건강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dult men’s lifestyle on scalp health 고희라, 이명선 p. 357-369

20대 여대생의 피부 톤과 헤어컬러에 따른 얼굴이미지 변화 인식 조사 =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facial image changes according to skin tone and hair color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윤수희, 정원지 p. 225-235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n the Point Makeup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wareness 미소장
2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Variation 미소장
3 Psychosocial Meaning of Make-up 미소장
4 Analysis of Image Makeup Using Color Trends 미소장
5 Comparative Study on Facial Color Between Subjective Judgment and Colorimetric Quantities 미소장
6 Qualitative Research on Motivations, Decision-Makers, and Effects of Personal Color Consulting 미소장
7 Foundation Color Recommendation based on User’s Skin Color 미소장
8 The Development of Nail Art Design Utilizing the Panton Color Trend 미소장
9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and Application of Job seekers 미소장
10 The Effects of Personal Color Awareness on Color Cosmetic Purchase Criteria and Purchase Behavior 미소장
11 Study on Validity of Personal Color Self-Diagnosis Measurement Scale 미소장
12 A Study on Personal Fashion Color Choices in Manicures and Pedicures 미소장
13 Analysis of Facial Col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ersonal Color Syst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미소장
14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Personal Color of Women in Their 20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