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엠와이362브이피’는 조생종 벼의 고온등숙성 향상을 위해 육성된 단기성 벼 중간모본이다. 2010년 하계에 완전미율이 높은 중만생종 벼 ‘남평’ 후대 조생종 계통인 ‘밀양247호’에 출수가 빠르면서 완전미율이 높은 조생종 계통 ‘YR26256Acp28’을 교배하여 F1 개체 28 개체를 얻었다. 2012년 하계 포장 및 동계 온실에서 F2 및 수별 집단으로 전개하여 세대를 진전하였고, 2013년 하계 수별 집단으로 전개하여 개체 선발을 진행한 뒤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계통으로 세대 진전을 하면서 개체 선발을 진행하였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밀양에서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20년 ‘밀양36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으며,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지역 적응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단기성 벼 고온등숙성 및 수발아 내성 육종소재로서의 우수성이 인정되어 2022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중간모본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엠와이362브이피’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엠와이362브이피’의 조기재배시 출수기는 7월 15일로 비교품종 ‘조평’보다 2일 늦으며 간장은 73 cm로 ‘조평’보다 4 cm 짧았고 이삭 당 벼알 수는 79개로 ‘조평’보다 26개 적었다. 2. ‘엠와이362브이피’는 등숙률이 80.1%로 ‘조평’보다 8.8% 높았고 백미 완전미율도 90.6%로 ‘조평’보다 28.5% 높았다. 2. ‘엠와이362브이피’는 수발아율이 1.9% 가량으로 ‘조평’이 19.0%인 것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엠와이362브이피’의 백미 외관은 맑고 우수하며 윤기치가 높았으나 식미 관능검정 성적은 ‘조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4. ‘엠와이362브이피’의 쌀 수량은 조기재배 생산력검정시험시 ‘조평’과 비슷하였고, 지역 적응성 시험에서는 평균 2% 증수되었다. ‘엠와이362브이피’의 재배 적지는 남부 평야지이다.

Rice is a staple crop in South Korea and globally. The era of global boiling, characterized by rising temperatures and abnormal climatic conditions, significantly impacts crop production worldwid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s and rainfall on early maturing rice varieties, focusing on enhancing heat tolerance during the ripening stage and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Utilizing ‘Milyang247,’ a progeny line from ‘Nampyeong,’ we developed the intermediate line ‘MY362VP.’ During 2020–2022, regional adaptability tests were conducted at five locations across Korea. Results showed that ‘MY362VP’ had a viviparous germination rate of 1.9% compared to 19.0% in the control variety ‘Jopyeong.’ Furthermore, ‘MY362VP’ maintained a head rice rate of 90.6%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utperforming ‘Jopyeong,’ which has a rate of 62.1%. ‘MY362VP’ produced an average yield of 529 kg/10a, comparable to the control’s 518 kg/10a.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breeding climate-resilient early-maturing rice varieties, positioning ‘MY362VP’ as a promising candidate for future cultiv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참동진/영호진미’ 재조합집단을 이용한 수발아와 저온발아성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 = QTL analysis for pre-harvest sprouting and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hamdongjin’ and ‘Younghojinmi’ 박현수, 서정환, 지현소, 이길응, 이창민, 박재령, 박송희, 이건미, 진민아, 정오영 p. 79-95

한국 기상 조건에서 O. sativa와 O. glaberrima의 농업 특성 분석 = Analysis of agricultural traits of O. sativa and O. glaberrima under Korean climatic conditions 박재령, 박현수, 서정환, 이창민, 박송희, 진민아, 이건미, 이근표, 이수경, Ebrima Jallow, 정오영 p. 97-111

국내 밀 품종의 유묘기 뿌리 특성과 초엽 길이 및 종자 특성 간 상관 분석 = Correlation of root system architecture at early seedling stage and coleoptile length and grain properties of Korean wheat cultivars 김경민, 홍수민, 최명구, 최창현, 이명희, 윤미라, 강천식, 장기창, 모영준, 박철수 p. 113-124

성숙이 빠르고 당도가 높은 단감 신품종 ‘올누리’ = ‘Olnuri’ : a novel early ripening sweet persimmon with high sugar content 김은경, 김태엽, 김영빈, 정재은, 안광환, 김영광 p. 125-130

열대지역 수출용 다수성 단교잡 종실 옥수수 ‘케이엠5’ = ‘KM5’ : a high grain yield hybrid corn for export to tropical regions 배환희, 하준영, 고영삼, 손재한, 이기범, 최유찬, 정희채, 신성휴, 김기영, 정태욱 p. 131-137

열대 적응형 조숙 다수성 단교잡종 옥수수 ‘케이엠3’ = ‘KM3’ : a tropical early-maturing and high grain yield single cross corn hybrid 배환희, 하준영, 고영삼, 손재한, 이기범, 최유찬, 정희채, 신성휴, 김기영, 정태욱 p. 139-145

중만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적응 벼 품종 ‘새봉황’ = ‘Saebonghwang’ : a high grain quality mid-late-maturing rice cultivar adaptable to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이창민, 김춘송, 신운철, 백만기, 박현수, 고종철, 김정주, 서정필, 정오영, 이건미, 서정환, 박송희, 백동민, 장현수 p. 147-159

향기 나는 배 ‘진향’ 육성 = ‘Jinhyang’ : a fragrant pear cultivar 정해원, 김윤경, 원경호, 김금선, 신일섭, 최진호, 강삼석, 서호진, 조영식, 강아랑 p. 161-168

수발아 내성 및 완전미율 우수 단기성 벼 중간모본 ‘엠와이362브이피’ = Development of the short-duration intermediate rice variety ‘MY362VP’ with enhanced viviparous germination resistance and superior head rice 이소명, 박동수, 신동진, 조수민, 박현진, 권영호, 차진경, 강주원, 조준현, 오기원, 이지윤, 이종희 p. 169-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