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교육과 학습이 최고의 높이에 도달하는 전 과정에서 요구되는 필수 요건이 글쓰기다. 글쓰기 능력이 곧 사고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생각과 의견을 통합적으로 성찰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우리가 속한 사회와의 적극적 의사소통을 위해 요구되는 기본 자질이다. 대학인은 다양한 텍스트를 분석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글로 정리함으로써 대학에서의 학습 활동에 수반되는 비판적인 글쓰기 능력을 기른다. 글쓰기는 낱말 하나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에서부터 글쓴이의 삶의 가치가 반영되는 정체성 찾기의 과정이다. 문장 하나하나가 자신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훈련이다. 이제 글쓰기는 고급 지식과 권력을 가진 일부 전문가의 독점물이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적인 활동이 되었다. 그동안 수동적인 독자의 역할에 머물던 보통사람들이 글쓰기의 주체로 등장했고 정치/사회적인 이슈만 아니라 개인적인 관심사나 경험담 등을 다룬 의미 있는 글을 사이버 공간을 통해서 활발하게 공유하고 다시 인쇄 매체를 통해서 재생산한다. 글쓴이는 새롭게 관련 분야의 지식 생산자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글쓰기의 방향을 살펴보고, 세한대학교의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실천적 제언을 모색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고력 평가 중심의 공무원 국어시험 개선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civil servant Korean exam focusing on thinking ability evaluation 오세정 p. 4-17

문해력 관점에서 본 공무원 채용시험의 국어 과목 개선 방향 = A direction for improvement for the Korean language section of the civil service recruitment exam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cy 홍지호 p. 18-30

최근 10년간 9급 공무원 국어시험 출제 경향과 개선 방안 모색 = A study on trends in the Korean language examination for public officials(grade 9) over the past decade and proposals for its improvement 신호림 p. 31-45

드라마 <연인>(MBC, 2023)에 보이는 17세기 조선 지식인 사회 = The literati society of the 17th century’s Joseon in <My Dearest> 백승호 p. 47-58

훼손당하(지 않)는 여성과 환향의 젠더지리 = Women who are (not) damaged and the gender geography of returning home : focusing on the historical drama <My Dearest>(2023) : 역사드라마 <연인>(2023)을 중심으로 양근애 p. 59-71

드라마 <연인> 만주어 대사의 극적 기능과 의의 = Dramatic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Manchurian lines in the drama <Dearest> 김경나 p. 72-88

올바른 글쓰기의 방향과 세한대학교 ‘글쓰기’ 교양 교과목 <사고와 표현>의 실용적인 교육을 위한 제언 = Direction of correct writing and suggestions for practical education of Sehan University’s ‘Writing’ liberal arts subject <Thoughts and Expressions> 김성철, 김미경 p. 90-100

학습동기 향상 중심의 한국어 교수설계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 A basic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al design method for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 focusing on Keller’s learning motivation theory : 켈러의 학습동기이론을 중심으로 고경복, 김경열 p. 101-111

유가 철학의 커먼즈 개념 적용 가능성 연구 = A study of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commons in Confucianism : focused on Taeguk-ron : 태극론을 중심으로 정두호 p. 112-120

정조의 무늬 있는 비단 금지령 『금문사목』 연구 = Research on Geummun-Samok(禁紋事目, a regulations banning the import of patterned silk) in 1787 이윤석 p. 121-138

지방 사족의 「학계안(學契案)」을 통해 본 조선 후기 학술 조직 문화의 일면 = An aspect of the academic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Hakgyean of the local family 김기엽 p. 139-148

1930년대 경성부 위생과의 위생사업 운영 = The operation of sanitation projects by the the Gyeongseongbu Sanitation Division during the 1930s : 『경성부세입출결산(京城府歳入出決算)』을 중심으로 백선례 p. 149-167

<황릉몽환기>에 나타난 비판-반론의 방식과 가문소설적 지향 = Methods of criticism-counterargument and family novel orientation in <Hwangreung Monghwangi> 유요문 p. 168-182

창극 <배비장전>의 인물형상 = Character portrayal in the Changgeuk <Baebijang-jeon> : focusing on the adaptation and composition in the early productions of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 국립창극단 초기 작품의 각색과 작창을 중심으로 박인혜 p. 183-197

<내부자들>에 나타난 미학적 반복 구조와 변주의 의미 = A study on the meaning of aesthetic repetition structure and variation in <Inside Men> 김남석 p. 198-214

시조를 주제로 한 유튜브 영상콘텐츠의 특징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YouTube video content with the theme of Sijo 이채영 p. 215-229

암행어사 콘텐츠의 양상과 의미 = The aspects and meaning of the Amhaeng-eosa content : focusing on TV dramas :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서보영 p. 230-242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을 통한 중국의 한국문학사 기술 양상 연구 = Study on the description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written by Chinese based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database 장예 p. 243-264

한중(韓中) 문화 이해를 위한 중국 역사문화도시 답사 방안 =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exploration program for global education : focusing on Suzhou and Shanghai : 소주(蘇州)와 상해(上海) 답사를 중심으로 최홍열, 이래호, 유춘동 p. 265-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