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즉흥무용수업에서 토론과 비평훈련의 유용성 : 열린사회 개념과 로버트 던의 즉흥수업을 중심으로 = Discussion and criticism training in improvisational dance classes : open society and Robert Ellis Dunn's improvisational class / 손영민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국내 즉흥수업의 현재 위상과 비평에 대한 선입견 6

3. 창의성 배양을 위한 즉흥수업과 합리주의 8

4. 즉흥무용수업에서 열린사회 개념과 로버트 던의 교육론 11

5. 즉흥무용수업에서 비평훈련의 유용성 15

6. 나가며 17

참고문헌 19

[요약] 2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주체적ㆍ자율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전문 무용가 양성을 위해 즉흥무용수업이 주는 이점들에 대한 이론과 실제적인 효과들의 필수 요소로써 토론과 비평훈련 그리고 교육자의 촉진적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현재 한국의 즉흥무용 위상을 살펴보고 창의성 배양을 위한 열린사회 개념 인식의 필요성과 비판적 합리주의 사고의 함양 그리고 1960년대 미국에서 실행되어진 즉흥수업의 학습모델과 교육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평적 관점에서 무용은 비평과 밀접하기에 즉흥수업에서 토론과 비평훈련의 유용성을 논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교육자는 비판적 합리주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계획하고 자신의 의견과 관점을 자유롭게 제시하도록 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즉흥수업에서 토론과 비평의 환경에 자주 노출되어 직관적이면서도 논리적인 비평훈련을 통해 체계적이고 설득력 있는 예술 작업의 가능성을 많이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언으로는 즉흥무용이 공연 창작을 위해 더 많은 경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국내ㆍ외 즉흥공연 관련 사례 연구와 공연화 실험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무용교육가 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discussion and critical training as essential elements of the theory and practical effects of improvisational dance classes to cultivate professional dancers. This research analyzes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e concept of an open society to cultivate creativity and critical rationalist thinking, using the improvisational class learning model and educators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In addition, as dance is related to criticism, we review discussions and the usefulness of training for critiques in improvisation classes. In conclusion, educators need an understanding of critical rationalism and must act as a facilitator for students to plan independently and freely present their opinions and perspectives. In addition, in improvisation classes, students should be frequently exposed to an environment of discussion and criticism, so that they can experience many possible ways to create systematic and persuasive works of art through logical criticis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최근 인공지능 음악 생성기에 대한 심층 분석 = An in-depth analysis of the latest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박은지 p. 5-30

보기
ChatGPT를 활용한 서사 창작의 가능성과 현재성 고찰 = Possibility and presentability of creating narratives using ChatGPT : a study on the short story collection Manifesto, 2023 : 단편소설집 『매니페스토』(2023)를 중심으로 오태호 p. 31-51

보기
인공지능(AI) 시네마(Cinema) 연구 = Stud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cinema : the necessity for studying AI film making methodologies that apply iconography, semiotics, and film semiotics theories : 도상학, 기호학, 영화기호학 이론을 적용한 인공지능 시네마 창작방법론 연구 필요성 전병원 p. 53-76

보기
김종환의 『전북일보』 연재 시나리오 연구 = A study on Kim Jonghwan’s Jeonbuk Daily serial scenario 최은영 p. 77-100

보기
1960년대 중후반 번안청춘영화 장르에 대한 고찰 = Youth film adaptations in 1960s South Korea : a comparative analysis of A Man of Windstorm and its original Japanese film : <폭풍의 사나이>와 원작 일본영화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정종화 p. 101-122

보기
고통의 인식과 표현에 관한 재고 = Rethinking the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pain : focusing on Ernst Jünger and Walter Benjamin : 에른스트 윙거와 발터 벤야민을 중심으로 강수미 p. 123-144

보기
「국악진흥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 The significance of the Gugak Promotion Act and its future challenges 문승호 p. 145-166

보기
즉흥무용수업에서 토론과 비평훈련의 유용성 = Discussion and criticism training in improvisational dance classes : open society and Robert Ellis Dunn's improvisational class : 열린사회 개념과 로버트 던의 즉흥수업을 중심으로 손영민 p. 167-189

보기
홀로코스트의 음악적 재현과 진정성 평가 = Evaluating authenticity in musical representations of the holocaust in Steve Reich’s Different Trains (1988) : 스티브 라이히 <다른 기차들>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신상호 p. 191-211

보기
해방기 『어린이신문』 소재 김순남 동요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Kim Soon Nam’s children’s songs published in the Children’s Newspaper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황수임 p. 213-239

보기
클래식의 건축음향적 특성을 반영한 전용 공연장 조성 방향 = How to create a specialized classical performance hal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music field : a demand survey of classical music field professionals : 종사자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이정희 p. 241-269

보기
‘제2의 올림픽 찬가’로 수용된 베토벤 <환희의 송가> = Beethoven’s Ode to Joy as the unofficial hymn of the Olympic Games 이장직 p. 271-293

보기
AI 시대, 예술적 창조와 미적 감수성에 관한 재해석 그리고 예술교육에의 소고 = Reinterpreting artistic creation and aesthetic sensibility in the era of AI and considerations on arts education 김경화 p. 295-31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