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문서에 남겨진 인주잉크의 출처 추정 및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물리적, 분광학적 특성 등에 대한 DB (data base)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시판 중인 고체형 인주(ST)와 액체형 인주(STP, MST, RFI) 총 73개 시료를 대상으로 투광, 변연부, 결정형, VSC 및 FTIR 등 비파괴적 연속 특성 분석법을 이용하여 인주잉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투광 특성은 73개의 시료 중 22개의 시료(ST, STP, MST, RFI)에서 확인되었으며, 변연부 특성은 ST 시료에서만 확인되었다. 결정형 특성 중 입체형 결정 유형은 ST 시료에서만 확인되었으며, 평면형 결정 유형은 ST (10개), STP (1개), RFI (1개)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VSC 특성은 반사(ST, STP, MST, RFI), 반반사(ST, STP, RFI), 선택적 흡수(STP, RFI) 및 완전흡수(STP, MST, RFI) 등 4가지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FTIR 피크 특성 분석을 통하여 73개의 시료를 54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10개의 군집(G1~G10)은 2개 이상의 시료가 동일한 피크인 군집 특성을 보였다. 이후 10개의 군집(G1~G10)을 대상으로 요오드 특성을 적용한 결과, 5개의 군집(G1, G3, G5, G8, G9)을 각각 2~3개의 군집으로 세부 분류할 수 있었다. 인주잉크의 특성을 3가지 유형(물리적 특성, 분광학적 특성, 화학적 특성)으로 대분류하고, 하위분류로 6가지 특성(투광, 변연부, 결정형, VSC, FTIR, 요오드)을 세분화하여 비파괴적 연속 특성 분석법과 특성자료 DB를 구축하였으며 73개 시료에 적용한 결과, 71개의 코드로 개인식별이 가능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database (DB) of the physic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amp ink on documents. A total of 73 samples of solid ink (ST) and liquid ink (STP, MST, RFI) were characterized using the non-destructive sequential classification method, including translucent, marginal zone, crystal, VSC, and FTIR. Translucen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22 of the 73 samples (ST, STP, MST, RFI), while margin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only the ST sample. The crystal type (C) was only identified in the ST sample, while the crystal fine (CF) types were identified in ST (10), STP (1), and RFI (1). Four types of VSC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reflection (ST, STP, MST, RFI), half-reflection (ST, STP, RFI), selective absorption (STP, RFI), and complete absorption (STP, MST, RFI). FTIR peak characterization allowed the 73 samples to be classified into 54 groups. Among these groups, 10 groups (G1~G10) had instances where two or more samples showed clas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pplying iodine fuming, 5 groups (G1, G3, G5, G8, G9) of the 10 groups (G1~G10) could be classified into 2~3 groups each. By classifying stamp ink properties into three types (physical, spectroscopic, and chemical) and subclassifying six properties (translucent, marginal zone, crystal, VSC, FTIR, and iodine), the nondestructive sequential classification method and stamp ink property DB were established. After applying it to 73 samples, 71 codes were used to identify individual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향정신성 γ-Hydroxybutyrate (GHB) 분자에 대한 잠재적인 신규 마커분자로서 Nile Blue (NB) 지시약의 변색 반응성 탐색 = Exploring the colorimetric reactivity of nile blue (NB) indicator as a new potential marker molecule for psychotropic γ-hydroxybutyrate (GHB) molecule 조유현, 윤신규, 신강일, 성낙도 p. 87-98

DNA가 포함된 법과학 인공혈액의 혈흔형태분석 적용 = Application of DNA-containing forensic blood substitute in the bloodstain pattern analysis 이상윤, 이기종 p. 99-107

비파괴적 연속 특성 분석법을 이용한 문서상 인주잉크의 식별 = Non-destructive sequential classification method of stamp inks on documents 최미정, 윤영욱, 최진우, 박제춘, 홍현식 p. 108-126

변사사건 현장에서 구급대원과 경찰관의 현장 보존에 관한 인식도 차이 =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scene preservation between paramedics and police officers at the scene of unnatural death 박주영, 이난영, 박준철, 김동자 p. 127-135

대구·경북지역 부검 증례 중 살인사건의 범행특성과 시체손상패턴으로 분석한 가설적 추론 = Hypothetical inference by analysis of crime characteristics and corpse damage patterns of the homicide among autopsy cas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박나현, 장정식, 김동자 p. 136-148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는 초오(草烏) 약초 중독사망 사건에 관련한 3가지 사례 = 3 Cases related to the death of Chooh (草烏) herbal poisoning used as a folk remedy 정재박, 정인남, 신강일 p. 149-153

생물검체 증거물의 신빙성(COC) 유지에 효과적인 일회용 집게 끝 장착용 구조물의 개발 = Development of disposable forceps-tip mounting structures effective for chain of custody (COC) in handling with biological sample evidences 박경록, 천정환, 최병호 p. 154-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