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의 교육용 메타버스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메타버스의 수업 활용이나 기술 구축에 초점을 맞춰왔으며, 구체적으로 교육용 메타버스를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설문조사, 전문가 면담 및 델파이조사를 통해 목표, 참여 주체, 제반 요소, 주요 역할을 포함한 교육용 메타버스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초·중등학교의 교육용 메타버스의 목표는 학습권 보장, 진로 탐색 지원, 학습 커뮤니티 공간 제공, 맞춤형 교육 실현이며 학생, 교원, 학부모가 참여 주체가 된다. 교육용 메타버스의 효과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제반 요소로는 기술, 문화, 윤리가 포함된다. 교육용 메타버스는 교과 및 비교과 학습 지원, 풍부한 학습 경험 제공, 진로 체험 제공, 안전 교육, 커뮤니티 공간, 에듀테크 도구와의 상호운용성, 학습 현황 관리, 개별 포트폴리오 구축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가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 커뮤니티 공간을 통합하는 미래형 가상학교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초·중등학교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효과 =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 tools :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co-regulation and learning outcomes : 고등학생의 협력적 조절 및 협력학습 성과를 중심으로 이주원, 임규연 p. 177-213

디지털 도구 활용 독서토론 모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discussion model using digital tools 호민애, 변호승 p. 215-247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에 대한 구조방정식 기반 국내문헌 메타분석 = Structural equation-based meta-analysis of domestic literature on learners’ perceived presence 원용호, 진단비, 손지현, 신윤희 p. 249-273

Vygotsky 이론에 기반한 이중자극 제시 유무와 중립성 수준이 ‘과학적 개념’을 활용한 자발적 고등사고와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the level of neutrality of the second stimulus in double stimulation based on Vygotsky’s theory on fostering of volitional high-order thinking and task achievement 김회수, 염시창, 윤혜정, 나은창 p. 275-306

게임 기반 학습에서의 자기 조절 학습 행동 분석 = Analysis of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game-based learning using ordered network analysis : 순서화된 네트워크 분석(Ordered Network Analysis)의 활용 신은혜, Dan Carpenter, Jonathan Rowe p. 307-330

SNA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사용 행동과 인식 탐색 = Exploring learner behaviors and perceptions on an SNA dashboard : interactivity and data visualization literacy :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차수민, 임규연 p. 331-360

초·중등학교의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edu-metaverse in K-12 education 임철일, 한형종, 임은선, 고보경, 엄태연, 김승하, 홍수민 p. 361-398

정보교사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수용에 관한 선행요인 탐색 = Exploring the antecedents of computer teachers’ acceptance of augmented reality : toward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of techn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hool suppor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 기술준비도와 기술-교수내용 지식, 학교 지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을 중심으로 박정민, 송지훈 p. 399-440

비선호 농어촌 학교에서 중등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technology use of secondary teachers in non-preferred rural schools 김재영, 김현진 p. 441-473

초등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AIED in primary education 김소망, 홍지혜, 이정민 p. 475-500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수행평가 도구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using video portfolios 박선향, 박인우 p. 501-540

대학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 모형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college instructor’s competency model for online class in higher education 이세현, 임정훈 p. 541-570

인공지능 융합교육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activation method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charge of AI education : 인공지능 교육 업무 담당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서교, 신민철, 황경빈, 박인우 p. 57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