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디지털 기반의 교육 혁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학습자 데이터를 활용한 AI 코스웨어와 대시보드에 대한 주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용 대시보드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는 한편 교수자의 교수설계를 지원하고 학습자에 대한 정보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자용 대시보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육 맥락에서 교사의 교수설계 지원을 위한 AI 코스웨어 대시보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 요구분석, 대시보드 설계원리 개발, 초기 프로토타입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최종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로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과 함께 진행된 현직 초등교사 43인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개별 학습자의 학습 현황에 대한 적절한 직관적인 피드백을 지원하고 개인 맞춤형 교수설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고, 대시보드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를 반영해 초기 프로로타입을 개발하고, 사용성 평가를 거쳐 최종 개발된 교수자용 대시보드 프로토타입은 홈, 학습현황 분석, 성취도 분석, 오답문제 분석, 메시지 및 채팅, 설정의 6개 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 초점을 맞추어 현직교사의 요구를 바탕으로 대시보드 프로로타입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AI 코스웨어의 대시보드 프로로타입 구조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As data-based educational innovation proceeds, attention is being paid to AI courseware and dashboards that utilize learner data. While research on learner facing dashboards is actively conducted, research on teacher facing dashboard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facing dashboard prototype of AI courseware to support instructional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Follow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proceeded wit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needs analysis, development of dashboard design principles, initial prototype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 and final prototype development. Through a needs analysis of 43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necessity for a teacher facing dashboard for instructors that provides appropriate intuitive feedback on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status and supports personalized instructional design was identified, and we derived dashboard design principles from the results. Reflecting these, an initial prototype was developed and after usability test, the finalized prototype consists of six tabs: Home, Learning Status Analysis, Achievement Analysis, Incorrect Answers Analysis, Messaging and Chat, and Sett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teacher facing dashboard prototype based on the needs of in-service teachers, an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s being promoted, it also presents a prototype structure for the teacher facing dashboard of AI coursewa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성희롱 예방 교육 이러닝을 위한 Merrill의 수업기본원리를 적용한 수업설계전략 탐색 = Exploring e-learning lesson design strategies by applying Merrill’s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for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채주혜, 김민영, 신윤희 p. 663-685

중등교사의 디지털기술 수용의도,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역량의 구조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competenc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정경혜, 신나민 p. 687-711

GPT-4를 활용한 과학탐구역량 자동채점의 특성 분석 = Characteristics of GPT-4 automated scoring of scientific inquiry competency 함은혜, 박소영, 이병윤, 이성혜, 이유경, 홍유정 p. 713-742

아카이브 기반 질적 분석을 통한 교수설계 원리 도출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rough archive-based qualitative analysis : focusing on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teacher and generative AI : 교사와 생성형 AI의 협력적 교수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이봉규, 김현진 p. 743-766

온라인 화상회의 기반 협력학습에서 교수자의 개입에 따른 메타인지 촉진전략이 인지부하와 수행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metacognitive promotion strategies on cognitive load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instructors in online video conferencing-based collaborative learning 김진영, 김회수 p. 767-788

중학교 교사의 AI 활용교육 수용 및 영향 변인들 간의 관계 규명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middle school teachers’ acceptance of education using AI 박하은, 임규연 p. 789-813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전략에 대한 잠재집단분석과 멀티태스킹 행동과의 관계 탐색 = Potential group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multitasking behavior 김남희, 김동심 p. 815-835

온라인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고수행 집단과 저수행 집단 간 상호작용 패턴의 차이 = Difference in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high and low performing groups in onlin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박소미, 신부경, 김미송, 조영환 p. 837-859

로블록스(가상세계) 데이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he learning activities data in virtual worlds through a scoping literature review : focusing on Roblox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홍수민, 엄태연, 박주영 p. 861-884

사이버대학교 학생의 중도탈락 원인분석 = Analysis of the causes of dropout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박기홍, 조규락 p. 885-906

교사의 교수설계 지원을 위한 AI 코스웨어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Developing a teacher facing dashboard prototype of AI courseware for supporting instructional design : focused on elementary mathematics : 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임철일, 임은선, 엄태연, 이은서, 정예일, 임민희 p. 907-932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관점에서 설명 동영상의 멀티모달 표상전략 탐색 = Unpacking multimodal representation strategies in explainer videos from TPACK perspectives 김예인, 소효정 p. 933-954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 Needs assessment for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이현우, 장민경, 임규연, 서정희, 허희옥 p. 955-980

비구조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ChatGPT와 협업하는 대학생의 논증적 사고 및 경험분석 = Analyzing university students’ argumentative thinking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with ChatGPT collaboration 정겨운, 김혜빈, 조일현 p. 981-1003

AI 교사지원 플랫폼에 관한 근거이론 = A grounded theory on AI-based teacher supporting platform 박연정, 이상민, 홍선주, 황요한 p. 1005-1034

사회과 자동문항생성을 위한 대규모 언어모델의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using large language models for automated item generation in social studies 임상묵, 조혜원, 이정우, 이현숙 p. 1035-1060

게임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 학습 지원전략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 학습경험에 대한 멀티모달 분석 = Multimodal analysis of cognitive learning experiences with the types of self-regulatory strategies in game-based learning 양은별, 류지헌 p. 1061-1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