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능력주의 사회에서 교육은 능력 여하에 따라 계급을 재생산하거나 비-재생산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교육의 힘을 활용해 자신의 열악한 처지를 벗어난 이들은 소위 ‘신화적 존재’로 계급 재생산의 ‘예외’가 되고, 사람들은 이 예외적 ‘성공’ 사례에 몰두하며 점점 더 교육(학력・문화자본)에 의존하게 된다. 이로써 능력주의 교육은 교육만능, 교육과잉, 교육낭비를 조장하게 된다. 관건은 이 ‘예외’라는 사실이 계급을 이행한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 모두를 ‘불편’하게 한다는 사실이다. 전자에게는 자기희생을 후자에게는 자기혐오를 강요한다는 측면에서 그렇다. 능력주의는 학업 성취나 교육적 성과는 물론 계급 이행 여부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한다. 사회문화적 재생산을 논한 Bourdieu는 계급을 이행한 비-재생산의 예외 사례를 개인적인 차원으로 접근한다. 이런 Bourdieu의 논의를 보완하며 Chantal Jaquet는 계급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비-재생산 요인―야심, 모방, 사회경제적 조건, 감정, 자리와 환경―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Jaquet의 논의와 궤를 같이하면서 능력주의가 감추고 있는 바는 무엇이며, 교육이 왜 성공을 위한 유일한 동력이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교육에서 강조할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능력주의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재생산 및 비-재생산에 대한 경험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curriculum using generative AI 유성열 p. 1-26
교육학 분야 질적메타분석에 대한 연구동향 = A research trends analysis on qualitative meta-synthesis in educational research 이승호, 황정훈, 박대권 p. 27-62
능력주의 사회, ‘계급 이행’과 교육 불일치 = The meritocratic society, ‘transclass’ and educational mismatch : focusing on C. Jaquet’s discussion of 'non-reproduction' : C. Jaquet의 ‘비-재생산’ 논의를 중심으로 조나영 p. 63-88

학교급별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인 탐색 = Exploring the components of effective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s by school levels 한정희, 박용한 p. 89-118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직업계 고등학교 연구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vocational high school using text mining : from 2010 to 2023 :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장은아, 정혜원 p. 119-154
대학 교수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 Faculty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 A대학 융합기초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황수정, 배상훈 p. 155-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