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제자도’의 역사에서 루터의 기여는 무엇인가? 이 글은 덕 윤리를 통하여 루터의 제자도를 다시 읽어낸다. 루터가 아리스토텔레스에 능통했다는 점, 그리고 매킨타이어의 현대 덕 윤리가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향수를 지닌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루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받은 중세 덕 윤리와 공로주의를 거부하고 덕 윤리의 개혁을 통하여 ‘수도원에 들어간 제자도’로부터 ‘일상으로 돌아온 제자도’를 추구하여 제자도의 본질을 회복하고자 했다.

루터의 『대교리문답』과 『소교리문답』은 이 주제의 구체적인 사례로서, 일상에서 그리스도의 제자로 훈련시키려는 관심이 담겨있다. 루터는 십자가 신학에 근거하여 ‘악덕과 덕에 관한 개혁’을 이루어 내고 제자도의 회복을 추구했다. 루터가 일상의 제자도를 강조한 것은 의의가 크지만, 일상에서의 타자성과 공공성의 구현이라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야 할 과제도 지니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방 이전 한국 성결교회 새벽기도회에 대한 역사적 연구 = A historical study on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of the Korea Holiness Church before independence 윤은석 p. 7-34

배형식(裵亨湜)의 생애와 목회 활동 = A study on the life and pastoral works of Rev. Bae Hyeong-sik 홍민기 p. 35-64

백정 가문 출신의 의사 박서양과 연세 정신 = Seo-yang Park, a doctor from a butcher family, and the spirit of Yonsei 정종훈 p. 65-88

루터와 제자도 = Martin Luther on discipleship : a virtue ethical reading on Catechisms : 교리문답에 관한 덕 윤리의 조망을 중심으로 문시영 p. 89-117

생명공학 시대의 기독교 책임윤리의 모색 = Search for Christian responsibility ethics in the age of biotechnology : Hans Jonas, William Schweiker, and through the middle axioms of participation, solidarity, 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 한스 요나스, 윌리엄 슈바이커, 그리고 참여, 연대, 충분성, 지속가능성의 중간 공리를 통해 백광훈 p. 119-147

말콤 C. 펜윅(Malcolm C. Fenwick, 1863-1935)의 토착선교 분석 = An analysis of the indigenous mission of Malcolm C. Fenwick (1863-1935) 이경희 p. 149-182

중년 기독교인 여성의 고부 관계 경험 연구 = A study on middle-aged Christian women’s experi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in-law 홍미자, 이명훈 p. 183-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