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세기 후반에 해양질서가 변화하면서 21세기를 전후하여 한일 간에 독도주권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부상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사회과 지리 영역의 개발과 독도 기술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에서는 독도와 관련하여 ‘우리의 고유 영토’, ‘영토 관련 분쟁’이라는 표현이 사라졌다. 중학교에서는 독도에 대한 내용 기술이 종래에 비해 간결해졌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한일 간에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독도와 동해 지명으로 인해 학생들이 혐오나 반일감정을 형성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주변국과의 협력과 발전, 평화와 공존을 모색하는 내용이 새롭게 기술되었다. 전반적으로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독도는 올바른 이해와 가치를 강조하면서 한일 간에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내용으로 기술되었다. 이는 글로벌화 시대에 지리교육이 지향하는 글로컬 시민의 자질 함양, 지리교육학계의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방향 모색, 그리고 현 정부의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등이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지리 영역의 개발과 독도 기술의 특징 =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field in social studies and characteristics of Dokdo descrip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Korea 심정보 p. 7-32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도 교육의 변화와 과제 = Changes on Dokdo education in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ts challenges 전기석, 박경근, 이슬웅 p. 33-75
고등학교 『2022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역사·지리 교과의 독도 교육 내용 반영 분석과 교수-학습 적용 방안 연구 = Analysis of the contents of Dokdo education in history and geography subjects in the "2022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안운호 p. 77-108

2014 초중고등학교 독도교육 내용체계 검토 및 문제점 = Review and problems of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content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강신훈 p. 109-133
일본 에도시대 쇄국정책에서의 다케시마 도해면허 유효성과 모순점에 대한 고찰 = An analysis on Japan's Edo period national isolation policy and the effects of the Takeshima sea license 서인원 p. 137-165
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 The universalization and embodiment of Koreans' recognition of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 based on media reports and archives : 언론 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이태우 p. 167-212

독도문제의 국제법적 쟁점에 있어서 한‧일 간 주장의 비교와 평가 =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Korean and Japanese claims on the issues of international law in the Dokdo problem : with emphasis on article 2 (a)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 a항을 중심으로 이용호 p. 213-246
노래의 개사와 문화권력"> 교육과 문화의 경계, 독도 =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Dokdo : edit the lyrics of the song "Dokdo is Our Land" and cultural power :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개사와 문화권력 박신영 p. 247-268
울릉도·독도 관광콘텐츠 홍보를 위한 MICE 산업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to utilize the MICE industry to promote Ulleungdo and Dokdo tourism contents 이웅규, 김용완 p. 269-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