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서애 류성룡의 삶을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라는 프레임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조직 경영 환경 변화와 고용 가능성 중시로 경력개발 논의가 활발해졌다. 현대 사회에서는 경력개발에 대한 개인의 역할이 강조된다.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는 이러한 경력환경 분야에서 주목받는 개념이다.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는 지속적으로 변화를 통해 경력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경계 경력 태도와 함께 21세기 노동시장의 주요 개념으로 평가받는다. 무경계 경력은 이동성을,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는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다. 이 태도는 일과 삶의 균형, 경력 성공, 삶의 만족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는 자기주도적 태도와 자기 가치지향적 태도라는 하위 요인을 갖는다. 이 연구는 류성룡의 삶을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의 두 하위 요인을 기초로 분석한다. 자기주도적 경력개발 태도는 개인이 스스로 주도하여 경력을 개발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현대 경력 환경에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과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류성룡은 이러한 자기 주도적 태도의 전형적인 예로, 어려서부터 자발적으로 학습을 하고 성찰을 중시하였다. 그는 임진왜란 시기에도 성찰을 멈추지 않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며 국사를 주도적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류성룡의 자기 주도적 태도는 국가의 정책과 존망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국가가 스스로 자강하여 백성의 안위를 중시하는 신념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조선의 자강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의 학문적 경험과 성찰은 변화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대책을 찾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또한 류성룡의 삶에서 일관된 태도 중 하나는 자신이 옳다고 믿는 가치를 꾸준히 추구한 점이다. 이는 자기 쇄신적 경력개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하나인 자기 가치지향적 태도와 연결된다. 류성룡은 백성을 위하고 실력을 중시하는 모습에서 자신의 가치를 일관되게 유지했다. 그는 소명을 국가와 백성을 위한 공익적 방향으로 인식하고 이를 위해 행동했다. 류성룡은 자신의 가치를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삶을 살아갔다. 류성룡은 백성의 풍족한 삶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전란 후에도 백성의 삶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중강개시를 통해 식량난을 해결하려 했으며, 백성을 위하는 가치를 실행에 옮겼다. 자신의 삶에서는 청빈을 중시하며 절제된 삶을 살았다. 류성룡은 실력을 중시하여 문관, 무관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등용했다. 이순신의 등용은 그의 자기 가치에 대한 확신과 결단력을 보여준다. 또한, 신분제도를 초월하여 인재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도 자신의 가치를 지향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life of Ryu Seong-ryong based on the frame of his attitude towards protean career attitude. Discussions on career development have become more active due to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nvironment and emphasis on employability. In modern society, the individual's role in career development is emphasized. Protean career attitude is a concept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career environment. Protean career attitude means developing one's career through continuous change, and is evaluated as a key concept of the 21st century labor market along with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emphasizes mobility, and protean career attitude emphasizes individual responsibility. This attitude is kn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work-life balance, career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Protean career attitude has sub-factors of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and value-driven. This study analyzes Ryu Seong-ryong's life based on thees two sub-factors.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refers to the attitude of individuals developing their careers on their own initiative. This emphasizes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the modern career environment and is achiev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reflection. Ryu Seong-ryong is a typical example of this self-directed attitude, learning voluntarily and emphasizing reflection from a young age. Ev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did not stop reflecting, and was able to solve problems on his own and take the lead in making decisions about national affairs. Ryu Seong-ryong's self-directed attitude also affected the country's policies and survival. He believed that the nation should strengthen itself and value the well-being of its people, and through this, he worked for the self-development of Joseon. His academic experience and reflec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inding the optimal measures to suit the changed situation. Additionally, one of the consistent attitudes in Ryu Seong-ryong's life is that he consistently pursued the values he believed to be right. This is connected to his value-driven attitude,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s of protean career attitude. Ryu Seong-ryong consistently maintained his values by caring for the people and valuing ability. He recognized his calling as a public good direction for the country and people and acted for it. Ryu Seong-ryong established his own values and lived his life based on them. Ryu Seong-ryong considered the affluent lives of the people to be important, and tried to restore the lives of the people even after the war. He tried to solve the food crisis through the opening of Junggang and put into practice the value of serving the people. In his own life, he lived a moderate life. Ryu Seong-ryong valued his skills and hired talented peop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civil servants or military officers. Yi Sun-sin's appointment shows his confidence in his self-worth and determin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he pursued his own values in that he discovered talent by transcending the class system.*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