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그간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半萬年歷史歌』를 소개하고 그 안에 수록된 「半萬年歷史歌」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半萬年歷史歌』에는 책 제목과 동일한 「半萬年歷史歌」와 「金剛山歌」 등 2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著者는 宋永石이며 전라남도 광주지역의 동광신문사에서 1948년 발행되었다.

송영석(1907~1992)은 송순섭 명창과 한 집안 사람으로, 젊어서 취미로 판소리를 익혔고 일제강점기 말에는 이동백 명창으로부터 판소리를 배우기도 했던 인물이다. 그는 광주농과대학을 졸업한 뒤 일제의 압박에 못 이겨 세상을 등지고 금강산에 들어가 음악을 연마했으며, 해방 후에는 민족정신을 높이고자 「半萬年歷史歌」를 지어 각지에서 공연하였다. 「半萬年歷史歌」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고조선부터 해방 직후까지 우리나라의 역사를 순차적으로 읊은 노래이다. 이 작품의 내용적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日本에 대한 批判的 認識, 節義之士에 대한 推仰, 分裂에 대한 警戒와 團結 呼訴 등이 그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핑계’의 通時的 樣相에 對하여 = On the diachronic aspect of “Pinggye (핑계)” 申容男 p. 5-37

새 자료 「半萬年歷史歌」의 特徵과 意味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new material 「Five Thousand Year History Song」 申性桓 p. 77-99

설화 속 선녀의 성격과 서사적 양상 = The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functions of fairies in folktales 金福順 p. 101-130

‘어머니’ 表象 중심 한국 전쟁서사 마스터플롯의 變容과 擴張 =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a Korean War masterplot centered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 Kim Won-il, The House with a Deep Yard : 金源一 『마당깊은 집』을 중심으로 鮮于銀實 p. 131-152

식민지 시기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의 두 표상 = The two represen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oid robots in the colonial era of Korea : focuesd[실은 focused] of Park Young-Hee’s translation 『Injonodongja』(1925) and Fritz Lang’s <Metropolis>(1927) : 朴英熙 飜譯의 『人造勞動者』(1925)와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1927)를 中心으로 張準榮 p. 153-196

Netflix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에 나타난 비속어·욕설 양상 분석 = An analysis of slang and profanity in Netflix original Korean content 沈炫普, 李定喜 p. 197-225

생성형 인공지능을 活用한 批判的 글쓰기 敎授學習 方法 摸索 = Exploring curriculum for critical writing utilizing generative AI : analyzing material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 대학 교양 글쓰기 강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柳健秀, 李尙宰 p. 227-261

‘-(으)려’계 어미의 ‘ㄹ’ 첨가형에 대하여 = ‘ㄹ’ insertion in ‘-(으)려’-type endings : focusing on the connective ending ‘-(으)려고’ : 연결어미 ‘–(으)려고’를 중심으로 許喩眞 p. 3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