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공지능, 특히 자연어 처리 분야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의학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거대언어모델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를 처리하고 일관된 문맥을 가진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의학 분야의 교육과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례 없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거대언어모델의 교육적 잠재력을 검토하고, 통합과 사용에 관련된 잠재적 문제점을 살펴본다. 거대언어모델은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광범위한 의학 지식에 대한 접근성을 넓히며, 문헌 검토를 간소화하여 연구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임상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대화형 학습 환경을 통해 역동적이고 몰입감 있는 교육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에 거대언어모델을 통합하는 데 우려되는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윤리적 영향, 비판적 사고력을 저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의학교육 과정에 거대언어모델을 통합할 때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기술과 전통적인 학습 방법론 간의 균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근거 기반 거대언어모델 도입, 다학제 협업, 투명성, 인지 부하 개념 등을 강조하는 지침을 제시한다. 본 논문이 거대언어모델을 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논의를 촉발하여 디지털 시대의 의료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거대언어모델의 발전과 기초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large language models and their impact on basic medical education 이현수 p. 59-67

해부실습의 교육효과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활동 개선에 관한 사례연구 = Case study on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issection practice 유효현, 김형태 p. 69-79

스티커로 만든 근육층 실습 교재 = Muscle layer practice textbook made with stickers 허혜원, 허미선, 김혜진, 김희진, 윤관현 p. 81-89

해부학 실습교육에서 죽음교육으로서 서사의학의 적용 =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medicine as death education in anatomical practice education 장경주, 이경민, 배재훈, 이재호 p. 91-98

일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참여 논문 현황 분석 = Medical students’ contribution to research in a medical school : focusing on anatomy(2011~2022) : 해부학을 중심으로 윤상필 p. 99-106

임상병리학과 학생의 해부학 실습 교육에 대한 설문연구 = Survey study on practical anatomy education for clinical pathology students 이나윤, 배안나, 이재호, 허유란 p. 107-112

Collagen 24A1, a potential prognostic biomarker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ye-Ran Kim, Jongwan Kim p. 113-120

Features of ugly eccentric women and the methods of overcoming ugliness in Korean oral literature Sung Gyun Jung, Kun Hwang, Young Joong Hwang p. 1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