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의 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한 다양한 이슈에 직면하여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아동의 변동에 관한 통계청 추계자료와 대학시설의 기본이 되는 교사(校舍)와 교지 면적의 공시자료를 활용하여 지난 9년 간의 대학 시설 현황의 변화를 학교 종별, 지역별로 고찰하여 변동의 추이를 연구하고 관련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공시된 자료 기반의 2015년부터 2023년도 국·공·사립대학 교지·교사 확보율 데이터로부터 추출가능한 연도별 대학의 시설정원, 교지별 기준면적, 보유면적, 확보율과 교사별 기준면적, 보유면적, 확보율이다. 또한 이를 입학정원기준과 재학생기준으로 주요한 시사점에 따라 교차 분석한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스프래드시트와 차트를 활용하여 시각화 및 체계화 하여 인구추계와 중첩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입 학령인구는 향후 약 4년간 감소세가 정체하고, 이후 35년까지 급격한 감소가 진행 예정이다. 현재 법령에 기준하여 1,000명 재학생 기준의 예체능계 고등학생 1인당 교사 면적 기준은 9.92㎡이고, 3,000명 재학생 기준의 예체능계 고등학생 1인당 교사 면적 기준은 8.64㎡, 2층 건축물을 가정할 때, 교지 면적은 1,000명기준 10.56㎡/인(人), 3,000명 기준 1인당 7.12㎡/인이 확보되어야 한다. 신규대학의 경우 1,000명 및 3,000명의 학교는 학생 1인당 17.60㎡의 교사면적을 확보하여야 하고, 교지는 1,000명 학교 22.00㎡/인, 3,000명 학교 35.20㎡/인을 확보하여야 하며, 운영중의 학교는 1,000명과 3,000명 모두 13.60㎡/인의 교사를 확보하여야 한다. 2023년 기준 전국 대학의 시설정원 기준 평균 교사면적은 20.38㎡/인이며, 평균 교지면적은 59.57㎡/인 이다. 재학생 기준 2024년 현재의 교지 확보율은 542%, 교사 확보율은 245%로 각 확보율은 지난 10여년 간 평균 3.59%p 및 2.22%p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근미래의 청소년 인구 변화를 고찰하고, 대입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에서 갖추어야 할 교사와 교지에 관한 요건을 시설 면적 관점에서 한국의 법령과 전국 대학시설의 현황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고교 시설면적 기준에 비하여 신규 대학이 확보하여야 하는 교지와 교사는 학생 1인당 약 두배가량의 면적이고, 이미 운영중인 대학은 신규로 개설할 대학에 비하여 공간면적을 다소 작게 확보하여도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universities of Korea are currently facing a multitude of challenges due to a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is study endeavors to examine the evolving landscape of university facilities over the past nine years. By utilizing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ertaining to fluctuations in the school-age demographic and public records detailing campus area and infrastructure, which serve as the foundation of universities in Korea, will be used. This research will then analyse trends by school type and geographical region in order to derive pertinent insights.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entails an examination of data extracted from publicly available sources encompassing campus and facility allocations for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spanning from 2015 to 2023. This comprehensive dataset encompasses a range of metrics, including annual facility quotas, standard area per campus site, holding area, securing rates, and standard area per campus space. The methodological analysis entails cross-referencing with admission and student quotas, facilitated by the employment of spreadsheet tools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including charts, thereby enabling systematic comparison with population estimates. (Results) Projections indicate a temporary stabilization in the decline of the college-age population over the next four years, followed by a precipitous drop over the subsequent 35 years. In accordance with prevailing regulations, the prescribed standard area per arts and sports high school student is at 9.92㎡ for every 1,000 students and 8.64㎡ for every 3,000 students. A two-story edifice necessitates a campus area per student is of 10.56㎡ for 1,000 students and 7.12㎡ for 3,000 students. The regulations pertaining to the establishment of new universities stipulate that an allocation of 17.60㎡ per student is to be made for both 1,000 and 3,000 student capacities. Nationally, the average campus area per person based on facility quotas is 20.38㎡, accompanied by an average campus area of 59.57㎡ per person. Furthermore, the current ccampus security rates are 542% for the site as a whole and 245% for the faculty, representing an average increase of 3.59% and 2.22% over the preceding decade. (Conclu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teachers and school grounds that universities should have in order to meet the demographic change of youth in the near future and the decline of the university-age population. This was achieved by analysing Korean laws and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facilities nationwide in terms of facility area. In comparison to the standard area required for secondary school facilities, newly established universities must allocate approximately twice the amount of space for grounds and teaching staff per student. Conversely, existing universities have the option of securing a somewhat smaller space than that required for new universitie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