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해 진로설계 변화 과정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 방법 중에서도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은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한 학기 동안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1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참여자들의 활동자료, 연구자 관찰 일지, 비디오 촬영자료, 특수교사 참여일지, 연구자 반성적 저널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연극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중학생들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자신감을 키울 기회를 얻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교육연극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발달장애중학생들의 역량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진로와 직업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process of career planning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for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is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sessions us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lasses on a semester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bjects' activity sheet, researcher observation log, video footage, special education teacher participation logs, and researcher reflective journals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was an opportunity for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experience social interaction, discover their potential, and improve their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support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educational plays, that explores the capabilities and potentia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삶의 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ability acceptance,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노성향 p. 1-19

ADHD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mothers with ADH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부모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성범 p. 21-40

유아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송미정 p. 41-62

교육연극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진로설계 변화 과정 = A study on change process of career planning in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for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옥혜숙, 강영심, 전인주 p. 63-91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따른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 경험 및 지원요구 = Psychological burnout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sponse to aggress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경인, 신윤희, 이혜주 p. 93-121

초기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파트너 참여형 인지-의사소통 중재 효과에 대한 영향 요인 =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fficacy of communication partner-participational cognitive-communication intervention in early-stage dementia 이미숙 p. 125-160

구강운동훈련에 대한 인식조사 = Survey of the use of oral-motor exercise among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 언어재활사 중심으로 노동경, 이옥분 p. 161-184

산림복지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forest welfare program on language abiliti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주현, 이주원, 김화수 p. 185-201

뇌졸중 환자의 Supine to Stand Test의 상대적·절대적 신뢰도와 동시타당도 = The relative·absolute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Supine to Stand Test in people with stroke 박창식, 안승헌 p. 203-219

중재 매핑(Intervention Mapping)을 활용한 발달장애인의 도시형 스마트팜 엽채류 재배 직업재활 중재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urban smart farm leaf vegetable cultiv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intervention mapping 배성환, 박진모, 백지영 p. 221-246

시각장애인 보조기기 접근과 스마트기기 활용 조사연구 = A survey on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access and smart-device use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 focused on Gyeonggi-do province :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신영, 박진석, 이경은 p. 247-270

지체장애성인과 뇌병변장애성인의 장애 수용도와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disability acceptance analysis 차지훈, 박재국 p. 27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