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들러 개인심리학 이론과 마음챙김을 적용하여 50·60대 중년 남성을 위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50세 이상 69세 이하인 중년 남성 14명을 처치집단으로, 18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사전, 사후(5회기 종료 직후), 추후(프로그램 종료 4주 후) 등 세 사례에 걸쳐 억울, 화병 증상, 우울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에 비해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억울과 화병 증상이 증가한 반면, 처치집단의 경우 억울은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화병 증상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의 경우 사후 시점에서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추후 시점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처치집단 참여자들에게 억울 프로그램에서 도움이 된 점과 아쉬운 점을 탐색한 결과, 억울 원인에 대한 탐색, 마음챙김, 상호지지 및 공감 등이 도움이 된 반면에 시간 부족이 아쉬운 점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들러 이론과 마음챙김을 토대로 한 억울 프로그램이 중년 남성의 억울과 화병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불안과 SNS 중독의 관계 =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 the mediating role of SNS use motives :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임영진 p. 1-13

한국판 2차적 운동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econdary Exercise Addiction Scale 전민탁, 강찬휘, 박재서, 추교현, 신성만 p. 15-32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이승희 p. 33-52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the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y :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Nguyen Thi Mai, 박수정, 김영근 p. 53-66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litude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single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윤희, 이영선 p. 67-87

50·6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ogul group therapy program for middle aged men in their 50s and 60s 김은하, 박선영, 김주은, 배수연 p. 89-113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ole conflict experience of school police officers 양재훈, 김영근 p. 115-134

BDSM에 대한 이해와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 Understanding of BDSM and consideration of counseling intervention 김지윤 p. 135-156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emotions 정귀임, 김미점, 김장회 p. 157-178